The Study on the Correlation of the Ejection Fraction of Multi Gated Blood Pool Scan and Echocardiography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Cardiac Function

심장기능상태의 분류에 따른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의 심박출계수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 Lee, Dong H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Park, Jang W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Nam, Ki Py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이동훈 (서울 아산병원 핵의학과) ;
  • 박장원 (서울 아산병원 핵의학과) ;
  • 남기표 (서울 아산병원 핵의학과)
  • Received : 2015.04.03
  • Accepted : 2015.04.30
  • Published : 2015.05.16

Abstract

Purpose We considered the correlation of Ejection Fraction (EF) which was analyzed by Multi Gated Blood Pool Scan (MUGA) and Echocardiography (ECHO) for the patients who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cardiac func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patients (female 60) who were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and were examined by both MUGA and ECHO. The 30 patients (age: $58.27{\pm}13.48$) who were analyzed into less than 50% to 70% of EF were categorized as normal group and the other 30 patients (age: $53.70{\pm}8.45$) who were analyzed into less than 50% of EF were categorized as abnormal group. Statistical analysis with SPSS ver. 18 was applied. Results Each of the value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normal group was $66.43{\pm}5.80$ (MUGA), $60.50{\pm}4.93$ (ECH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Each of the value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abnormal group was $41.93{\pm}7.58$ (MUGA), $41.70{\pm}11.49$ (ECH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In the result, all 30 cases of normal group showed the same reading. 8 out of 30 cases in abnormal group showed inconsistency of the reading. Conclusion We could confirm the correlation of the EF in MUGA and ECHO statistically.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abnormal groups from the result of reading. If we are aware of the result according to the different cardiac function categorization, MUGA and ECHO can be used as even more accurate interchangeable test.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로 산출된 좌심실 심박출계수(Ejection Fraction : EF)는 높은 상관성을 가진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심장기능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채 모든 환자들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장의 기능상태에 따라 분류된 대상에 대하여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에서 평가된 심박출계수의 상관성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본원에서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를 모두 시행한 환자 중 유방암 진단을 받은 여자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감마카메라는 Infinia (GE healthcare, Milwaukee, USA)와 Ventri (GE healthcare, USA)를 사용하였으며, 체내 표지법으로 좌전사위상(Left Anterior Oblique, LAO)영상을 획득한 후, 전면상(Anterior View)과 좌측면상(Left Lateral View)을 각각 획득하였다. 영상분석은 좌전사위상에서 심박출계수가 50% 이상 70% 미만으로 평가된 환자 30명(연령: $58.27{\pm}13.48$)과 50% 미만의 환자 30명(연령: $53.70{\pm}8.45$)을 각각 정상군(Normal)과 비 정상군(Mild LV Dysfunction)으로 분류하여 SPSS ver. 18.0로 통계 분석하였다. 그룹 간 판독결과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문의에 의해 판독된 결과를 참고하였다. 정상군의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초음파의 심박출계수의 평균값은 각각 $66.43{\pm}5.80$, $60.50{\pm}4.93$로 심초음파의 값이 다소 낮게 측정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비 정상군의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초음파의 심박출계수는 평균값이 $41.93{\pm}7.58$, $41.70{\pm}11.4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01). 정상군간의 판독결과에서 30건 모두 동일한 판독결과를 보였으나 비 정상군간에서는 30건 중 8건에서 판독의 불일치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의 심박출계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 정상군간의 결과에 주관적인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심장기능상태 분류에 따른 결과를 인식하고 게이트심장혈액풀 스캔과 심장초음파를 상호대체 검사로 임상에서 활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결과 값을 산출하여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