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Radioactive Material Management Plan and Environmental Analysis of Water (I) Study of Radioactive Substances in Water Management and Analysis to Eat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nvirionmental Protection Agency)

물 환경의 방사성 물질 관리 방안과 분석법에 관한 연구 (I) 미국환경보호청(Envirionmental Protection Agency)의 먹는 물 방사성물질 관리와 분석법에 관한 고찰

  • Her, Jae (Department of Bio-convergence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
  • Kim, Jung-Min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Korea University) ;
  • Min, Hye-Lim (Department of Bio-convergence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
  • Han, Seong-Gyu (Department of Bio-convergence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
  • Lim, Hyun-Jong (Department of Bio-convergence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
  • Jo, Han-Byeol (Department of Bio-convergence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
  • Noh, Young-Hoon (Department of Bio-convergence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
  • Lee, Ho-Sun (Department of Bio-convergence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
  • Park, Min-Suk (Korea Institute of Radiological & Medical Sciences)
  • 허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바이오융합공학과) ;
  • 김정민 (고려대학교 방사선학과) ;
  • 민혜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바이오융합공학과) ;
  • 한성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바이오융합공학과) ;
  • 임현종 (고려대학교 대학원 바이오융합공학과) ;
  • 조한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바이오융합공학과) ;
  • 노영훈 (고려대학교 대학원 바이오융합공학과) ;
  • 이호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바이오융합공학과) ;
  • 박민석 (한국원자력의학원)
  • Received : 2015.05.11
  • Accepted : 2015.06.12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e interest of the people in the radioactive contamination of the water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study about analysis and management of radioactive material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And monitoring spots have been expanded to the range of public water as well as drinking water by publishing the rule of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and examination in the Environmental Enforcement Ordinance No. 553 of Korea. In this study, US EPA was investigated as the foreign advanced cases and the way that is appropriate for the Korea was sought by analyzing investigate radionuclide, interval and management. As a result, in the selection part of investigate radionuclide, geological survey, status of nuclear power plants and the presence of the use of artificial radionuclides of the Korea should be investigated and additionally after the selection of a few radionuclides, the systems should be extended to cover all possible radionuclides by considering radioactive pollution levels in humans may be exposed due to the annual drinking water. In the part of the investigate interval, the concept(MCL, DL) should be set up for preventing concentration detection of above MCL and it needs to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For example, when the concentration is more than MCL, it should be investigated on a quarterly and when th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MCL, it should be investigated to each different interval and management. And the US EPA divided the management area and make the roadmap for managing drinking water. The each classified area has been organized to match the state budget and labor force and the individual data have been managed effectively by HPGe, the NaI, TLD and so on.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수질 내 방사성 오염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 이에 따라 해외에서는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먹는 물 속 방사성물질 분석과 관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환경부령 제553호로 "먹는 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제 2조 수질기준을 규정하여 먹는 물 속 방사성농도의 감시를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염지하수 뿐 아니라 공공수역까지 범위를 확대하여 효율적인 관리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먹는 물 관리 시스템이 좀 더 나은 관리 및 운영이 될 수 있도록 미국 EPA(환경보호청) 사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미국 EPA(환경보호청)에서는 조사핵종을 선정할 시에 자국의 지질화학적인 조사와 원자력 발전소 보유현황 그리고 인공방사성 핵종의 사용유무 등을 조사하고 추가적으로 인간이 연간 먹는 물로 인하여 피폭 받을 수 있는 최대오염농도(0.1 mSv/y)를 고려함으로써 ${\alpha}$ 방출체, ${\beta}/{\gamma}$ 방출체, 라돈 및 우라늄으로 구분지어 핵종을 선정한 후 관리하고 있다. 조사주기 면에서는 미국 EPA(환경보호청)의 MCL(Maximum Contaminant Level - 최대오염농도)과 RDL(Required Detection Level - 검출하한치) 이라는 개념을 정립함으로써 그 이상의 농도가 검출되지 않도록 유지 및 관리를 하고 있다. 여기서 최대오염농도는 권고된 수치 이상의 농도가 측정 될 시에 특별한 관리조치와 해결방안이 제시되어야 하는 반면 검출하한치는 이 수치 이하로 측정된 방사성 농도는 인체에 영향이 없거나 거의 미미하므로 검출되었다 할지라도 특별한 조치가 필요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최대오염농도 이상의 농도가 검출 될 시에는 기존에 조사해오던 주기보다 더 자주 측정하고 검출하한치 이하의 농도로 측정될 시에는 전에 해오던 주기대로 측정 및 관리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각 핵종에 대하여 각각의 기준치를 정하고 미국 EPA(환경보호청)에서는 각 주(state)에 권한을 일임하여 자국의 주요 하천을 나누어 로드맵을 만들어 관리를 하고 있다. 그리고 그렇게 분류된 지역은 인력 및 예산에 맞게 HPGe, 형광검출기(NaI) 및 TLD 등의 검출기 등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측정값을 얻어 관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환경부, 환경부령 제553호,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2014
  2. 환경부, 지하수 중 자연방사성물질, 2015
  3. 환경부, 환경부고시 제2013-136호, 먹는물 수질공정시험 기준, 2013
  4. 원자력안전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고시 제2014-34호, 방사선방호 등에 관한 기준, 2014
  5. 원자력안전위원회, 총리령 제1056호,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법 시행규칙, 2014
  6. 원자력안전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고시 제2014-12호, 원자력이용시설 주변의 방사선환경조사 및 방사선환경영향평가에 관한 규정, 2014
  7. EPA, Radionuclides in Drinking Water: A Small Entity Compliance Guide, 2002
  8. EPA 402-R-07-007, Radiological Laboratory Sample Analysis Guide for Incidents of National Significance-Radionuclides in Water, 2008
  9. U.S. EPA-816-R-01-004. Washington, DC :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1.
  10. U.S. EPA. Community Water System Survey, Vol 2, Detailed Survey Result Tables and Methodology Report. Washington, DC :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