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Influence of Aged Social Well-being on Satisfaction with Life

고령자의 사회적 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07.06
  • Accepted : 2015.08.10
  • Published : 2015.08.28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intain the necessity of Aged social well-being and to intend to grasp the influence of the elderly's social well-be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This study selected the Aged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offered by a college for the elderly among those aged over 65 who are living A city and G city in Gyeonggi-do Province as research subjects, and used a total of 167 survey questionnaires for final analysis. The main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with respect to the correlation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social well-being, economic level, subjective level of health and social well-being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ocial health affects on life satisfaction is in the average income, subjective level of health, social well-being can explain a satisfaction rating of 25.6 % from a Life in aged can do.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ocial well-being and average income can say crazy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ased on such study results, this study recommends a number of proposals.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의 사회적 건강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고령자의 사회적 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함이 주된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경기도 A시와G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고령자 중 노인대학의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고령자를 선정하였고 총16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주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사회적 건강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경제적수준, 주관적 건강과 사회적 건강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회적 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평균수입,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건강은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를 25.6%설명해 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사회적 건강 그리고 평균수입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 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4 고령자통계, 2014.
  2. http://kosis.kr
  3. 박영석, "고령자의 사회적 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762-739, 2013.
  4. http://www.law.go.kr
  5. 園田恭一, 社會的健康論, 東信堂, 2010.
  6. D. A. Anspaugh, Wellness :concepts and application, St .Louis, MI: Mosby, 1994.
  7. M. P. O'Donnel and J. S. Harris, Health promotion in the workplace, Albany, NY: Delmar Publishers Inc, 1994.
  8. 안재오, 운동선수의 환경 요인이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9. 大塩まゆみ, "社會的健康 と健康な社會", 明治 生命厚生事業團健康文化 1994.
  10. H. Clinebell, Well-Being(pp.7-9), San Francisco: Harper, 1991.
  11. 厚生勞働省, 平成26年版 厚生勞働白書, 日経印刷, 2014.
  12. 조추용,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2권, pp.7-34, 2003.
  13. 박경혜, 이윤환, "노인의 사회활동이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6권, 제2호, pp.275-289, 2006.
  14. 오승환, "노인의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3권, pp.209-231, 2007.
  15. 小室豊允, 老人の社會參加, 中央法規出版, 1989.
  16. 이원숙, 사회적 망.사회적 지지와 임상적 개입의 이론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17. 양옥경, "노인 정신건강과 삶의 질", 사회과학연구논총, 제1권, pp.101-131, 1997.
  18. 仲村優一, 一番ヶ瀨康子, 右田紀久恵, エンサ イクロペディア社會福祉, 中央法規出版, 2007.
  19. 변호순, 미신고복지시설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0. 손미숙, 노인의 생활스트레스가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1. 정민승, 김경화,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총, 제8권, pp.101-126, 2009.
  22. 김윤정, 최혜경, "사회적 지지로서의 노인부양", 한국노년학회, 제20권, 제1호, pp.209-233, 2000.
  23. 백혜영,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 28권, 제4호, pp.73-92, 2012.
  24. 장신재, 조자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225-23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225
  25. 박형규,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6. 김정유, 최유석, "사회적 지지가 중소도시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208-219,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4.208
  27. 유재남, "노년기 성공적 노화와 삶의 만족도 궤적에 관한 종단연구", 제3회국민노후보장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국민연금연구원, pp.335-369, 2011.
  28. 김희주, 주경희,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1권, pp.125-158, 2008.
  29. 최성재,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논총, pp.233-258, 1986.
  30. 곽인숙, "예비 노인과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대학가정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07-120, 2011.
  31. 김시월, 조향숙, "중․고령자 단독가구의 삶의 만족도와 재정, 건강, 심리 상태와의 관계", Financial Planning Review, 제5권, 제3호, pp.89-116, 2012.
  32. 정순둘, 이선희, "노인 삶의 만족도 변화: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3개년도 (1994, 2004, 2008년)결과비교", 학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1229-1249, 2011.
  33. 한형수, "노인의 삶의 질이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9권, pp.347-372, 2008.
  34. 강상경, "삶의 만족도와 관련요인의 세대간 차이에 대한 탐색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4호, pp.91-119, 2012.
  35. 정순둘, 이현희, "베이비붐세대의 삶의 만족도:1996년과 2008년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제55 권, pp.105-132, 2012.
  36. 허선영,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생활만족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7. 김윤정, 사회적 지지관점으로 본 가족부양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38. 임미숙, 도시노인의 노인정 참여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39. 장주효, 노인의 생활영역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0. 권중돈, 조주연,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국노년학, 제20권, 제3호, pp.61-76, 2000.
  41. 황여정, 김수혜, "빈곤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분석",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pp.547-569,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