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nnecting space between Sarang-Chae and An-Chae of ㅁ-shape Traditional Houses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ㅁ자형 전통가옥의 사랑채와 안채간 연계공간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5.07.10
  • Accepted : 2015.08.22
  • Published : 2015.08.25

Abstract

This paper analyses connecting space of the 'ㅁ' shaped houses from Chosun Dynasty, Korea. Houses are refl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shapes, locations and territoriality by the social class system. Because of their spatial arrangements, 'ㅁ' shaped houses might have various planning approaches. This paper looks at Sarang-chae and An-chae, which are the common elements of the houses, and analyses their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n spatial arrangements and territoriality. The territoriality wa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Chae and Madang. The spatial arrangement was formed by the social norms of its time. Hengrang-chae and Dam-jang, which were located in-between Chae and Madang, limit territoriality by providing privacy and interrupting the circulation.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언, 한국의 주거민속지, 민음사, 1994, P.87
  2. 김화봉, 조선시대 안동문화권의 뜰집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p.11
  3. 장성준, 安東土溪洞의 住宅類型에 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권 81호, 1978.4, pp.3-10
  4. 백유정, 대문간 위치로 본 경기북부 맞고패집의 바깥채 공간 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 27권 제7호 통권273호,대한건축학회, 2011.7, pp.113-121
  5. 주남철, 한국주택건축, 일지사, 1980, p.75
  6. 신치후, 안동문화권 ㅁ자형 주택의 평면형식의 특성,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p.24
  7. 윤일이, 조선후기 상류주택 사랑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pp.57-66
  8. 이희준, 전통회화속에 나타난 자연관과 조영양식, 환경과 조경 9709, 재인용
  9. 오채준, 경북 영덕군 원구리 마을의 전통주택 평면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p.73
  10. 최동호, 한국전통 주거공간의 마당 구성원리(2), 건축사9612, 1996, p.90
  11. 이혜연, 전통마당 공간특성의 현대적 적용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p.16
  12. 이동찬, 시지각에 따른 조선중기 상류주거 외부공간의 구성,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재인용
  13. 문화재청, 한국의 전통가옥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