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e of Landscape in Bulguksa Temple through a Iconographic Materials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일제강점기 도상자료를 통한 불국사의 경관변화에 관한 연구

  • Kim, Kyu-Won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 Ahn, Gye-Bo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atholic University of Deagu) ;
  • Sim, Woo-Kyung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 Korea University)
  • 김규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
  • 안계복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경학과) ;
  • 심우경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 Received : 2015.02.23
  • Accepted : 2015.03.19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Bulguksa Temple, a typical temple of Silla was lost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there are records of reconstructing in its record, Bulguksa Sajeok. There is no record after that. And reconstructing was stopped due to lack of money and repair works were conducted for two times in Japanese colonial era. First repair work was from 1989 to 1919 and second repair work was conducted from 1922 to 1925. After Liberation, Bulguksa Temple Restoration Committee was established in 1969 and the construction has started since 1970 after excavation investigation to complete in 1973. The shape of south arcade without walls in the main temple of Bulguksa was found in a blue print of Bulguksa in Japanese colonial era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now and a picture of Bulguksa in 1902 taken by Sekino Tadashi. It ver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Gupumyeonji which was discovered in restoration work in 1970s and a legend of Muyoungtap. And a stair from the hall of Paradise to the main temple was introduced as a stair including Pure Land Buddhism doctrine in many literature materials, but a blue print of Bulguksa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reports of excavation investigation in 1970s verified that it was a temporary stair built by Japan and its meaning was given later. This research checked the scenery of Bulguksa Temple before Japanese colonial era and it is intended for basic data to conduct restoration or reconstruction project in the future.

불국사(佛國寺)는 신라의 대표적인 사찰로서 임진왜란으로 완전 소실된 이후 1805년까지 중수와 중건을 거듭하였다. 그 이후의 기록은 없다가 재정상태가 어려워지면서 불국사의 중수는 중단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일제에 의한 수리공사가 크게 2차에 걸쳐 나누어 시행되었다. 해방이후, 1969년 불국사 복원위원회가 설립되고 발굴조사 후 1970년부터 공사가 시작되어 1973년에 준공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국가기록원에 소장되어 있는 불국사의 일제강점기 건축도면과 1902년 불국사의 모습을 사진으로 남긴 세키노 타다시(關野 貞)의 자료, 1973년에 발간된 불국사복원공사보고서를 통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 이후의 불국사의 경관의 변화를 확인하여 향후 복원이나 재정비 사업의 진행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국사는 19세기 초까지 유지되어 왔으나 그 후 사세가 약해졌고 그 후 일제강점기의 일본의 우월함을 표출하려는 무분별한 수리공사와 1970년대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자료와 연구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공사를 진행하여 많은 경관 변화가 있었다. 둘째, 구품연지(九品蓮池)는 고문헌에서 구품연지의 의미와 영지(影池)의 기능이 함께 언급되어 있어 그 명칭을 확정할 수 없고 실제로 발굴조사된 위치가 극락전이 아닌 대웅전 아래 공간이었기 때문에 구품연지의 교리적 의미와 발굴위치가 맞지 않는 의문점을 남기고 있었다. 구품연지는 창건초기부터 영지(影池)로서 역할을 하다가 시간이 흐르며 불국사의 사세가 약해짐에 따라 연지(蓮池)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어 극락전의 존재와 교리상 알맞은 구품연지(九品蓮池)로 불리게 된 것으로 추측하였다. 셋째, 대웅전 남회랑의 경관을 촬영한 1902년 세키노 타다시의 사진을 확인할 결과 당시 남회랑의 벽체가 없었고 1918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일제강점기 도면에서도 벽이 없는 회랑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1970년대 복원공사 뒤의 남회랑의 모습과는 다른데 불국사의 전체적인 경관과 함께 탑이 비추면서 아래쪽 지당이 영지로서의 기능을 했다는 근거 자료였다. 넷째, 48계단은 계단 숫자와 관련하여 정토불교와 관련된 48대원, 16관법, 대웅전의 관점에서의 승가시 3도로로 해석되고 있었다. 국가기록원에서 보관중인 일제강점기의 불국사 도면과 사진, 발굴조사자료를 확인한 결과 원래 없었던 것으로 판단되어 48계단에 대한 올바른 스토리를 알릴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Jang. J. J(2014). A study on the cultural policy of the 3rd-4th republic and role and meaning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through the restoration process of Bul-Guk Temple. Master's thesis of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 Kim. B. G.(1999). A Study on the reconstruction of pulguksa temple. Buddhist Temple Landscape Research. 7(1): 1-16.
  3. Korea Institute of Buddhism(1974). Bulguksa Temple. Seoul: Iljisa.
  4. Hong. K. P.(1994). A Study on the lotus pond of Pulguksa templ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2(2): 75-82
  5. Choo. S. H.(1997). A Study on a Fungtion as a Young-Ji and Fogy Phenomenon of Gupumyonji Bulguksa Temple. Master's thesis of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6. Kim. S. J., Chang. H. D., Hwnag. J. K and Kim. S. T.(2011).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ure Land Idea on the Hall of Paradise in Bulguk-sa Temple.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resentation Proceedings of Research. 2011(1): 487-494
  7. Joo. H. J.(2012). A Study on the substance of the corridor reflected by the Gupoom yeon-gi of Pulguk temple. Master's thesis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8. Yeom. J. S.(2009). Temple arrangement of Buddhism and Refocus on Bulguksa Temple. Paju: Korea Research Information.
  9. http://theme.archives.go.kr/next/place/subject04.do
  10. Sekino Tadashi(Translated by Kang. B. J. 1990). Architecture and art in Korea. Architectural Culture: Seoul, Korea
  11. Bureau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1976). Report of Bulguksa Temple Restoration project.
  12. Kim. B. Y.(2004). Buddhism Architecture. Seoul: Sol.
  13. http://map.naver.com/
  14. SungKyunKwan University Musium(2007). Yesterday and today the ruins of Shilla in Gyungju. SungKyunKwan University Musium: Seoul, Korea
  15. http://www.archives.go.kr/next/viewMain.do
  16.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9106&cid=40942&categoryId=31543
  17. Res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2007). A Selection of masterpieces from Buddhist painting of Korea. Seoul: Res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18. Kim. S. H.(1999). Thought and Culture of Shilla. Seoul: Iljisa.
  19. http://db.itkc.or.kr
  20. Hanyang University Museum(2012). Boundary of the Restoration and Cre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Museum.
  21. Joseon Governor-General(1916). Joseongojuckdobo(朝鮮古蹟圖譜), vol. 4.
  22. Sim. W. K., K. H.(1989). Symbolic Meaning and Landscaping Value of Yong-ji in Korean Old Buddhist Templ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7(1): 273.
  23. Hong. K. P.(2001). Traditional Waterscape inKoea. Seoul: Taerimmumhwsa.
  24. Shin. Y. H.(1998). Sukbulsa Temple.Bulguksa Temple. Seoul: Josunilbosa.
  25. Jung. J. H.(2005). Traditional Garden of Korea. Paju: Jokyung.
  26. Yu. H. J.(2011). My Cultural Heritage Exploration Travelogue 3. Seoul: Changbi.
  27. Fujishima Gaijiro(1989). Architectural History in Korea. Seoul: Kyunginmunhwasa.
  28. http://ebti.dongguk.ac.kr/ebti/keyword/index_keyword.asp
  29. http://yang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yangsan&dataType=0201&contents_id=GC01400826
  30. http://db.mkstudy.com/coll/korean-geography/book/28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