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pplicability of Water Pipe Detecting Using GPR

상수관로 탐사에 대한 지중레이더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 이원종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임성민 ((주)디에스정보기술) ;
  • 최윤수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민관식 (한남대학교 건축.토목학과)
  • Received : 2015.10.23
  • Accepted : 2015.11.27
  • Published : 2015.12.10

Abstract

In modern society, as to the underground urban infrastructure facilities(communication electricity water and sewage gas etc.) were contained many risks because of excavating. The exact posi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should be built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ublic surveying results from 2004 to 2009, it shows that low detecting rate of water pipeline which is only 52.4%, because the exploration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only detect metal pipeline and positioning survey only detect new pipeline before burying. Therefor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the correct and efficient exploration techniques are needed to improve the detecting rate. In this study,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 measurement results for the non-metal pipes and metal pipes before burial. It was compared with values that obtained through the ground penetrating radar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detecting. As a result, detecting rate of the concrete section showed a 100%, unpaved section showed a 94.7%, asphalt section showed 60%. So it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the ground penetrating radar at underground facilities detecting.

현대사회에서는 통신 전기 상하수도 가스 등 도시기반 시설물들을 지하에 매설하게 되면서 굴착공사로 인한 많은 사고 위험을 내재하게 되었다.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설된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와 속성정보가 구축되어야 한다. 하지만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상수관로의 공공측량성과심사를 분석한 결과, 관로매설 전 시행하는 위치측량은 신규관로만을 관측하며 전자유도 탐사는 콘크리트 구간에서 자장간섭으로 인한 탐지 불가와 금속관로만을 탐사하는 한계점으로 인해 52.4%의 저조한 탐사율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탐사율을 향상할 수 있는 정확하고 효과적인 탐사 기법에 대한 개발과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매설 전 금속관로와 비금속관로에 대한 위치측량 결과를 기준으로 정하여 지중레이더와 전자유도탐사를 통해 얻은 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콘크리트구간 100%, 비포장구간 94.7%, 아스팔트구간 60%의 탐사율을 보여 지하매설물 탐사 시에 지중레이더 탐사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2010),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2010-2015.
  2. 국토지리정보원(2000), 지하시설물도 작성 세부지침.
  3. 국토지리정보원(2006), 수치지도작성 작업 규칙.
  4. 국토지리정보원(2011), 공공측량 작업규정 개정.
  5. 김영표.신동빈(2002), 지하시설물 전산화 사업 감리사례 연구, p.44.
  6. 김원대.황환국.박재우.채명진(2008), GPR 기법을 이용한 관로 배면 지반 상태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No.11, pp.363-369.
  7. 김은정(2002), 地下施設物의 位置 正確度 向上方案.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8. 김인섭(2009), 자동수평마커와 DGPS를 이용한 지하시설물의 현장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7권, 제6호, pp.733-739.
  9. 김학수.임해룡.배성호(1999), GPR에 의한 지반 구조물 탐사,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pp.65-91.
  10. 박인찬.조원철(2006), GPR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누수 탐사,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1271-1274.
  11. 백장미.홍인식(2012), 사용자 위치 정보에 기반한 GIS 지하매설물 검색 및 모니터링 시스템, 보안공학연구 논문지, 제9권, 제1호, pp.87-98.
  12. 백종은.최재순(2014), GPR을 이용한 도로 하부 탐사 기술, 한국도로학회, 제16권, 제3호, pp.11-16.
  13. 손강희.최진수(2002), GPR과 GPS를 이용한 하상지반조사, 한국지반공학회지 제18권, 제8호, pp.25-30.
  14. 이현직(2002), 지하시설물도의 품질 향상 방안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pp.77-83.
  15. 최병길.김태훈.나영우(2008),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한 공간정보획득에 관한 연구, 제34회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pp. 4026-4029
  16. 홍상희(2005), GPR(Ground Penetrating Radar)의 활용, 건설안전협회논문집, 봄호, pp.62-66.
  17. K.Kraus, H.kager(1994), A ccuracy of derived data in a GIS, Computation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18, pp.87-94. https://doi.org/10.1016/0198-9715(94)900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