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ggage Limitations of Liability of Air Carrier under the Montreal Convention

몬트리올협약상 항공여객운송인의 수하물 책임 - 2012년 11월 22일 EU 사법재판소 C-410/11 판결의 평석 -

  • Received : 2015.06.12
  • Accepted : 2015.06.26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In case of C-410/11, Pedro Espada $S\acute{a}nchez$ and Others v Iberia $L\acute{i}neas$ $A\acute{e}reas$ de $Espa\tilde{n}a$ SA., ECLI:EU:C:2012:747, the passengers of a flight between Barcelona and Paris, whose baggage had been lost, lodged a claim before a Spanish court, asking for compensation. More specifically, the claimants were a family of four (two adults and two children), and had stored all their personal items in two suitcases, which had been checked in and tagged but never returned to the passengers in question. The four claimants relied on the Montreal Convention, ratified by the EU, which provides that each passenger can claim up to 1,000 SDRs in compensation (i.e. ${\euro}1,100$) in case his or her baggage is lost; thus, they sought to recover ${\euro}4,400$ (4,000 SDRs, i.e. 1,000 SDRs x4). The preliminary reference issue raised by the Spanish court to the CJEU regarded the $Montr\acute{e}al$ Convention's correct interpretation; in particular, it asked whether compensation should be available only to passengers whose lost baggage had been checked in "in their own name" or whether it is also available to passengers whose personal items had been stored in the (lost) baggage of a different passenger. The CJEU held that compensation had to be granted to all passengers whose items had been lost, regardless of whether these had been stored in baggage checked in "in their own name." In fact, it maintained that the real aim of the $Montr\acute{e}al$ convention is to provide passenger-consumers with protection for the loss of their personal belongings, so the circumstance of where these were being carried is not relevant. Nevertheless, the CJEU clarified that it is for national courts to assess the evidence regarding the actual loss of an item stored in another passenger's baggage, and maintained that the fact that a group of people were travelling together as a family is a factor that may be taken into account.

2012년의 Pedro Espada $S\acute{a}nchez$ and Others v Iberia $L\acute{i}neas$ $A\acute{e}reas$ de $Espa\tilde{n}a$ SA. 판결은 몬트리올협약 제22조 제2항의 적용과 관련하여 협약 제3조 제3항의 연관성을 밝히고 그 범위에 관한 법리해석을 제시한 후, 구체적인 판단기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본 판결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여객 총 4인이 항공기에 탑승하면서, 2인 명의의 식별표가 부착된 2개의 수하물에 4인의 여객 각각의 소유물을 넣었는데, 그것이 멸실되어 몬트리올협약 제22조 제2항에 따른 총 4인 합계 4,000 SDR의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한 것이다. 즉, 몬트리올협약 제22조 제2항을 적용할 때, 협약 제3조 제3항을 어떻게 연결지어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 본건의 주요쟁점이 되었다. EU 사법재판소는 협약 제3조 제3항을 넓게 해석하면, 식별표 부착은 단지 운송인에게 수하물의 식별의무만을 부과한 것이므로 가령 여객이 본건과 같이 동행 여객의 수하물에 자신의 짐을 넣은 경우라도 협약 제22조 제 2항상의 여객 1인당 책임한도액 규정을 원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재판소의 해석론은 크게 몬트리올협약 제22조 제2항의 적용과 관련하여 협약 제3조 제3항의 연관성 및 그 해석범위에 관한 문제로 논의가 집중되는 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첫째, 항공여객운송의 실무상 현실적으로는 흔히 발생하는 일이기는 하나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않았던 몬트리올협약의 해석상의 문제에 대해 본 판결은 일정한 해석지침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적용상의 시사를 마련해 주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본 판결을 통해 EU 역내에서의 몬트리올 협약에 대한 해석이 국제적인 측면에서 통일적 진보를 이루게 되었다는 점이다. 보통 특정 협약의 규정에 관한 법리해석은 국내의 사법기관들이 담당하여 지금까지는 해석상의 혼란 내지는 불통일을 피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판결은 EU 역내의 개별 국내 법원의 법리해석이 아닌 국제사법기관으로서의 EU 사법재판소가 일정한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몬트리올 협약이라는 국제적 통일규범에 대한 전례 없는 통일적인 해석론이 가해지게 되었다. 즉, 향후 몬트리올협약의 EU 역내 적용과 관련하여 동 협약상 규정의 의미, 해석 및 적용기준에 통일적 해석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겠다. 궁극적으로는 전 세계적인 차원에서 몬트리올협약의 규정 해석, 나아가 향후 항공운송조약 체제의 입법방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요컨대, 본 사안은 EU 자체 내의 EU항공운송관계규칙의 해석이 문제가 된것이 아니라 EU법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몬트리올협약이라는 국제조약의 규정해석이 문제가 된 사례이다. 본 판결은 EU 사법재판소라는 국제적 사법기관의 지위에서, 몬트리올협약상 항공여객운송인의 수하물책임에 관한 해석상의 쟁점에 대해 몇 가지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향후 몬트리올 협약의 적용과 관련한 EU 각국의 개별적 사법기관의 판단기준에 본 판결은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복, 신국제항공법, 개정판, 한국학술정보, 2012.
  2. 김종복, "몬트리올협약상의 항공여객운송인의 책임", 항공우주법학회지, 제23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08.
  3. 김광록, "상법상 항공운송인의 물건운송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규정 검토", 기업법연구, 제25권 제4호, 한국기업법학회, 2011.
  4. 김두환, "국제항공운송인의 책임에 관한 최신 몬트리올조약의 주요내용과 논점", 항공진흥, 통권 제29호, 한국항공진흥협회, 2003.
  5. 김지훈, "여객 및 수하물의 연착으로 인한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7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2.
  6. 문준조, "국제항공법상 화물.수하물에 대한 운송인의 책임상한제도 - 미국의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항공우주법학회지, 제22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07.
  7. 소재선.이창규,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원인에 관한 법적 고찰 - 여객 손해배상책임을 중심으로",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8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3.
  8. 양석완, "몬트리올협약상 항공운송인의 유한책임 적용 한계 - 여객의 연착 및 수하물에 관한 책임을 중심으로", 통상법률, 제87호, 법무부, 2009.
  9. 이강빈, "몬트리올협약을 수용한 한국의 국내 입법상 항공운송인의 책임제도",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7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2.
  10. 최준선, 국제항공운송법론, 삼영사, 1987.
  11. 최준선, 국제거래법, 제9판, 삼영사, 2014.
  12. 최준선, "국내 항공운송법 제정안에 관한 고찰", 항공우주법학회지, 제23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08.
  13. 桑原康行, "モントリオ一ル條約における航空運送人の手荷物に關する責任", 國際商事法務, Vol. 43, No. 2, 國際商事法務硏究所, 2015.
  14. Christopher E. Cotter, Recent Developments in Montreal Convention Litigation, 79 J. Air L. & Com. 291 (2014).
  15. Pablo Mendes De Leon and Werner Eyskens, The Montreal Convention: Analysis of Some Aspects of the Attempted Modernization and Consolidation of the Warsaw System, 66 J. Air L. & Com. 1155 (2001).
  16. Paul Stephen Dempsey, International Air Cargo and Baggage Liability and the Tower of Babel, 36 Geo. Wash. Int'l L. Rev. 239 (2004).
  17. Gillian Flener, Effects of the Amendments to the Baggage Check Provision of the Warsaw Convention - Clearing the Way for More Efficient Check-In Procedures, 28 Transp. L.J. 295 (2000-2001).
  18. M. R. Franks, Airline Liability for Loss, Damage, or Delay of Passenger Baggage, 12 Fordham J. Corp. & Fin. L. 735 (2007).
  19. Stephen C. Fulton, Airline Baggage Claims: A Tour through the Legal Minefield, 5 Fla. Int'l L.J. 349 (1990).
  20. Patrick Zeuner, The Law of International Carriage by Air, GRIN Verlag GmbH,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