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Public's Perception and Opinion Formation on Particulate Matter Risk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erceptions toward Promotional News and Involvement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과 의견 형성에 관한 연구 프로모션 기사 인식정도와 관여도에 따른 분석

  • Kim, Yung-wook (School of Communication & Media, Ewha Womans University) ;
  • Lee, Hyun-seung (School of Communication & Media, Ewha Womans University) ;
  • Lee, Hye-jin (School of Communication & Media, Ewha Womans University) ;
  • Jang, You-jin (School of Communication & Media, Ewha Womans University)
  • 김영욱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
  • 이현승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
  • 이혜진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
  • 장유진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 Received : 2015.05.31
  • Accepted : 2015.07.20
  • Published : 2015.08.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ttribute agenda-setting and priming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a survey about Particulate Matter($PM_{10}$ & $PM_{2.5}$) using both promotional news and general new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omotional news and general news were found to showcase similar cognitive attributes. Second, the results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ighlighted attributes in media coverage and the public's salient attributes, but media attributes had been generally reflected in the public's perception because the public was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all media attributes. Third, the recognition of the public's attribute importance affected the direction of public opinion, which resulted in the acceptance of priming effects. Meanwhile, the recognition of the public's attribute importance towards economic damag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dividual response, and the recognition of promotional news had affected risk perception. Furthermore, the recognition of promotional news and involvement appeared to have an interaction effect on risk perception.

이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쟁점 현안으로 떠오른 미세먼지 위험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위험을 마케팅 측면에서 이용하는 프로모션 기사와 일반 기사에서 2차 의제설정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또한 속성 현저성 중요성 인식이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공중의 의견 방향과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모션 기사와 일반 기사는 유사한 인지적 속성 현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디어의 속성 현저성이 수용자에게 순서대로 전이되지는 않았지만, 수용자가 언론이 다루고 있는 미세먼지 속성 전반에 대해 중요성을 견지하였고, 미시속성 측면에서는 전이현상이 나타나 전체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미디어의 속성 현저성이 수용자에게 반영되고 있었다. 또한 수용자의 속성 중요성 인식이 프라이밍 효과를 일으켜 미세먼지에 대한 의견 방향에도 전반적으로 일관성 있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제적 피해, 국제공조, 개인적 대응 속성 중요성 인식과 프로모션 기사 인식정도가 위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모션 기사 인식정도와 관여도는 상호작용하여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