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20대 소비자의 명품 및 명품모방품 소비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Korean 20's Consuming Behaviors in Luxuries and Imitations

  • 투고 : 2014.03.18
  • 심사 : 2015.02.12
  • 발행 : 2015.04.30

초록

최근의 조사에 의하면 명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특히 2,30대의 젊은 소비자들은 강한 명품소유 욕구를 가지고 있어 본 연구는 20대의 소비성향에 대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들 소비자를 대표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명품에 대한 인식과 구매경험, 주로 구매하는 품목, 월 용돈수준 등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명품모방품에 대해서도 구매경험과 주 구매품목, 구매이유를 살펴봄으로써 명품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소비자들은 사회비교추구성향을 보이는데, 특히 젊은 세대는 상대적으로 통제감이나 자기효능감이 강하지 못하므로 주변의 분위기에 휩쓸린 과시소비에 쉽게 빠져들 가능성이 높아 명품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 있다. 또한 실증 조사 결과, 우리나라 대학생은 명품을 품질이 우수하거나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랜드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남학생은 품질이 우수한 브랜드를, 여학생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랜드를 명품브랜드의 특성으로 꼽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별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아울러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명품브랜드를 구입한 경험이 있는데, 월 용돈이 많을수록 구입경험도 많았다. 응답자들이 구입한 품목은 패션용품, 의류, 시계/보석, 화장품/향수 등의 순이었고, 성별 및 용돈수준별로도 주요 구입품목이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명품모방품의 구입경험자는 많지 않았으며, 주로 구입한 품목은 패션용품이었고 구입이유로는 가격대비 품질 및 경제적인 이유를 가장 많이 들고 있었다. 비교적 높은 용돈수준의 응답자들이 명품모방품 구입경험이 높은 점은 흥미롭다.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서 명품 및 모방품의 구매의도가 높았다. 학년별 명품 및 명품모방품의 구매의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용돈에서는 흥미로운 점이 발견되었다. 즉, 명품의 구매의도는 용돈이 높을수록 증가하고 명품모방품의 경우는 그 반대였지만 특정 용돈수준에서는 높아서 비선형적(non-linear)인 트랜드를 보였다. 이는 명품모방품 구입경험 조사결과와도 맥락을 같이 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명품의 마케팅전략 수립에 있어서 여러 가지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the sales amount of luxuries and imitations is getting larger. Especially young consumers in 2,30's have a strong desire to own luxuries, so I tried to build a theoretical base on the 20's consuming trend. Meanwhile,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who represent consumers in 20's, I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of luxuries, shopping experience, main shopping items, monthly spending money, and future purchase intention. I also investigated shopping experience of imitation, main shopping items, purchase reasons, and future purchase intention. I tried to suggest lots of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marketing strategy building of luxury brand, aiming young consumers in 20's. On the social-psychological view point, young generation have relatively weak sense of control or self-efficacy. So, they are easily submerged in conspicuous consumption by the atmosphere around. As a result of empirical research, I found that Korean students recognized luxuries as excellent in quality, or the world famous brand. In particular,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shown in the luxuries characteristics as the high-quality brand for male students and the world famous brand for female students. Most respondents have experience buying luxuries. And more monthly spending money, more experience they have. Respondents' purchased items were in order of fashion goods, clothing, watches/jewelry, cosmetics/perfume. A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and monthly spending money were shown. Not many respondents purchased luxuries imitations, and main purchased items were fashion goods. Most of purchase motives are price over quality and economy reason. The phenomena that the respondents of relatively high levels of monthly spending money had lots of luxuries imitations shopping experiences is interesting.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purchase intention for luxuries and imitations than male studen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level, but was found something interesting in monthly spending money. As monthly spending money increased, the purchase intention of luxuries increased, but the purchase intention of luxuries imitations decreased. However, non-linear trend was shown in the specific allowance level. This is replicate of the luxuries imitations purchase experience. Following studies will be needed for the exact interpretation for this.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and descriptive, but can provide lots of fruitful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formulating luxuries marketing strateg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