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파푸아뉴기니 농업 환경 기초조사

Research for the Selection of Agricultural environment in Papua New Guinea

  • 발행 : 2015.07.30

초록

남태평양의 종주국이라고 할 수 있는 파푸아뉴기니의 기상환경은 고온다습한 열대우림기후로 작물의 생육에 아주 적합한 조건을 가지고 있어서 작물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천혜의 나라이다. 파푸아뉴기니 농촌 마을은 자급자족시대를 넘어 소득이 가능한 작물생산을 원하고 있다. 좋은 작물생산을 위하여 농업기상 환경을 이해하고 관수시설 설치 등 기술보급 등이 필요하다. 특히, 좋은 토양을 만들기 위하여 pH, EC, ORP 측정을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 농산물 시장은 급격히 현대화되고 있어 규격 생산, 소비자가 원하는 농산물 생산이 요구되고 있다. 파푸아뉴기니의 농업발전을 위하여 국제 기술협력이 요구되고 있는데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로서는 양국간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파푸아뉴기니 농업개발을 위한 이 지역의 농업 기초 환경조사는 농업 기술협력의 큰 다리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Papua New Guinea, birthplace of the South Pacific, is a natural nation which have potential of increasing crops output because it has optimum condition for crop growth as tropical rain forest climate under hot and humid climate. Farming village of Papua New Guinea want to produce crops for create income beyond the self-sufficiency. It needs the technological transfer such as irrigation facilities and understanding of agricultural weather condition for good crops production. In particular, it needs a improvement through pH, EC, ORP for make optimum soil condition and it need the standardization production and farm products what the consumer wants. Internationally technical cooperation is needed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of Papua New Guinea and maintenanc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will help for economic developm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particular, basic environment research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of Papua New Guinea is expected to play a larger role of technical cooperation of agricul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Coursey, D. G. 1967. Yams. Longmans. (London)
  2. Paijmans Editor K.. 1976. New Guinea Vegetation. Australia University Press.
  3. Mcalpine J.R., Gael K. and Falls R. 1983, Climate of Papua New Guinea. Australia University Press.
  4. 安部淸悟, 1997. 균형영양농법, 진솔출판사.
  5. 石畑淸武, 福村 和則, 中崎 明. 1984. インド ネシア産ソロヤム(Dioscorea alata L.)の植え付け時期が收量におよぼす影響. 鹿大 農顯報 8: 13-17.
  6. 林滿, 石畑淸武. 1991. ヤムイモ(Dioscorea spp.)の生育ならびに塊莖の肥大生長について第2報.ソロヤム(Dioscorea alata L.)の生長 にぉよぼす環境要因の響. 麵農業 35(2): 79-83.
  7. 장광진. 2011. 파푸뉴기니 가벤시스마을 현황과 전망. 현장농수산연구지 제13권(1)
  8. 주문갑. 1990. 파푸아뉴기니아의 농업입지환경과 작물재배 국제농업개발 학회지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