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ethod for Describing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ing Program's Time-Slots and Its Application to a Data Service

방송프로그램의 구간 별 부가정보 기술 방법과 이를 활용한 데이터서비스 개발 사례

  • 고광일 (우송대학교 방송미디어학부)
  • Received : 2015.05.07
  • Accepted : 2015.05.30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Although the data service of the digital broadcasting has been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service of th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it, however, has failed to gain the popularity with the viewers due to the viewer's viewing modality of focusing only on the TV programs. Based on the experts' opinions that the data service should step up so that using a data service while watching a TV program creates a synergy effect, the paper proposes a method for allowing a data service to utilize the information of a TV program. The method has a tool for describing the information of a TV program's content, which changes as time goes on and provides a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in the way compatible to the digital broadcasting standard. As an application of the method, with a domestic data service developing company, we have developed a ticker data service that shows the information (e.g., actors, places, sponsors, etc.) of a drama.

비록 디지털방송의 데이터서비스가 방송통신융합의 대표 서비스로 관련 산업계의 관심과 기대를 받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방송프로그램 시청 위주의 TV 시청행태와 열악한 데이터서비스 운영 환경 (방송 수신기의 저 사양, 리모컨 조작의 불편함 등)으로 시청자들로부터 대중적인 인지도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데이터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시청자의 방송프로그램 시청에 시너지를 더하는 형태로 발전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데이터 서비스가 방송프로그램의 주요 부가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는 방송프로그램의 주요 부가정보를 정형적으로 기술하는 방법과 이 부가정보를 디지털방송 표준에 정합된 형태로 정리, 전송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활용 사례로 국내 모 개발사와 티커 형태의 시범적 데이터서비스를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찬수, "SmartTV 혁명", 21세기북스, 2011년.
  2. 권호영, 주정민, "디지털 시대 데이터방송의 현황과 정책", 한국콘텐츠진흥원, 2001년.
  3. "데이터방송 서비스 시장 현황 및 시사점", KT경제경영연구소, 2008년.
  4. 고광일, "시청자의 TV 이용행태를 고려한 디지털TV 데이터서비스의 기획 가이드라인", 한국융합보안학회 논문지, 제12권 제3호, 2012년.
  5. "디지털방송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방송 활성화 방안 연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07년.
  6. "Implementation guidelines for Data Broadcasting," ETSI TR 101 202 v1.2.1, ETSI, 2003.
  7. "DVB Specification for data broadcasting", ETSI EN 301 192, ETSI, 2008.
  8. 정문열, 백두원, "연동형 데이터방송 애플리케이션의 구조", 한국방송공학회지, 제9권 제1호, 2004년.
  9. 신승호, 정문열, "연동형 데이터방송 저작도구의 설계", 한국방송공학회지, 제9권 제4호, 2004년.
  10. 정문열, 이차원, 남윤석, 이광순, 김광용, "지상파 DMB 데이터방송에서 연동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동기 규약 설계 및 구현", 한국방송공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한국방송공학회, 2005년.
  11.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home page - www.dvb.org.
  12. "Multimedia Home Platform (MHP) Specification 1.1.3," ETSI, DVB, 2005.
  13.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pecification for Service Information (SI) in DVB systems," ETSI, DVB,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