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물을 이용한 조선시대의 염초 제조공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Manufacturing Process of Potassium Nitrate using the Natural Materials in Joseon Dynasty

  • 투고 : 2015.06.11
  • 심사 : 2015.06.24
  • 발행 : 2015.06.30

초록

본 연구는 조상들이 천연물인 흙과 재를 이용하여 화약원료인 염초(질산칼륨)를 만든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역사기록을 근거로 마루밑 흙 등 10종의 흙과 쑥재 등 6종의 재를 채취하여 수행되었다. 흙과 재로부터 추출한 이온성분을 ICP와 IC로 분석한 결과 흙과 재에는 각각 질산이온과 칼륨이온이 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특히 사람의 생활환경에 노출되고 미세한 유기물질이 축적되는 마루밑 흙에 질산이온이 제일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재에 포함된 칼륨이온은 식물의 종류와 식물의 성장환경에 큰 영향을 받으며, 쑥 재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흙과 재의 1:1 혼합 추출액으로부터 최대 68% 순도의 염초를 얻었으며, 염초의 순도를 높이기 위하여 물질의 용해도 차이(분별결정)를 이용하여 정제한 결과 염초의 순도를 약 14% 향상시킬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Yeomcho(potassium nitrate), a necessary raw material for making gunpowder using soils and ashes by our ancestor. 10 types of soils including underfloor soil and 6 kinds of ashes including mugwort ash were collected, referencing the historical record. The ionic components extracted from the soils and ashes were analyzed by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 and IC(ion chromatograph). Nitrate ions and potassium ions were dominantly contained in soils and ashes, respectively. In particular, nitrate ions were found in the highest lebels in underfloor soil which often has much exposure to human living environments and accumulated fine organic matter. Potassium ions contained in ash was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type of plant and the growth environments and the measured levels were the highest in mugwort ashes. Yeomcho of 68% purity was obtained from the soil and ash mixture of 1:1 and thid purity was improved by about 14% by fractional crystallization method.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수목원 편저, 2013, 국역 유산기(산림정책과 산림문화 역사성 규명을 위한), 한국학술정보.
  2. 국립수목원 편저, 2013, 조선왕조실록 산림관련기사, 한국학술정보.
  3. 김준수, 김지훈, 2014, 흙과 재, 오줌을 이용한 전통화약제조 방법의 재현과 과학적 원리의 탐구, 제60회 전국과학전람회 출품작(학생부)-작품번호 1237 (화학부문 특상 수상작).
  4. 김지남, 1796(정조20), 신전자초방언해 요약본, 디지털 한글박물관(http://www.hangeulmuseum.org/sub/information/bookData/detail.jsp?d_code=00277).
  5.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과 자료(http://blog.daum.net/viny9364).
  6. 민병만, 2009, 한국의 화학역사, 아이워크북, pp. 95-304.
  7. 배우근, 배재호, 양지원, 2002, 생물환경공학, 동화기술, pp. 507-567.
  8. 안승구, 권오섭, 박성주, 신윤근, 안태영, 환경미생물학, 신광문화사, pp. 263-269, 1993.
  9. 양운진, 1996, 수질화학, 신광문화사, pp. 205-349.
  10. 이석우, 1996, 물리해양학통론, 집문당, pp. 25-30.
  11. 최형국, 2013, 최형국의 무예 이야기(조선시대 화약 제조), 동아일보(http://news.donga.com/3/all/20130523/55353859/1).
  12. 황진연, 장명익, 김준식, 조원모, 안병석, 강수원, 2000, 우리나라 황토(풍화토)의 구성광물 및 화학성분, 한국광물학회지, Vol. 13, No. 3, pp. 147-163.
  13. Wikipedia, Solubility table, http://en.wikipedia.org/wiki/Solubility_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