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독서치료 독서목록에서의 카테고리와 치유서의 관계 분석 연구

A Study on Relation Analysis between Book and Category in Bibliotherapy Catalog

  • 백재은 (덕성여자대학교 정보연구소)
  • 투고 : 2015.05.31
  • 심사 : 2015.06.17
  • 발행 : 2015.06.30

초록

올바른 독서치료를 위해서 이용자는 자신의 상황과 증상에 대한 자가판단과 함께 치유서의 올바른 선정및 접근이 필요하다. 이용자는 독서치료 독서목록의 상황별 카테고리를 이용해서 치유서에 접근하지만, 독서치료를 원하는 이용자가 자신의 복잡한 상황 및 증상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하나의 단어 혹은 키워드로 정의하는 것은 어렵다. 국내 독서치료 독서목록은 연령별 카테고리를 제외한 1개 혹은 최대 2개의 상황별 카테고리를 제공하며, 이로 치유서를 분류하고 있다. 이용자가 복잡한 상황을 가지고 카테고리에 접근하는 만큼, 이용자의 접근 효율성과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1개의 카테고리 보다는 복수의 카테고리 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서치료를 원하는 이용자가 원하는 치유서에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기초 연구로서 국내의 독서치료 독서목록과 치유서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내 대표 독서치료 독서목록을 이용하여 카테고리간의 매핑과 크로스워크를 실시하였고, 독서치료 독서목록의 전반적인 조사를 통해서 국내 독서치료 독서목록 카테고리를 분석하였다.

For bibliotherapy, users should understand their own life situation, select and access the book (self-help book). User access to book through situation catalog (or list) in reading list, but user is difficult to define and simplify in one word after understanding their own situation. Catalog of bibliotherapy reading list classifies books using one situation category or maximum of two categories other than the age-specific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 approached and analyz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bliotherapy and reading list, in order that access more efficiently to book what user wants. Bibliotherapy reading-list by using mapping and crosswalk between categories, and analyzes category of reading lists through comprehensive review.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수경. 2010. 도서관 서비스 확대를 위한 독서치료의 과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4): 241-268.(Kim, Soo-Kyoung. 2010. "The Task of Bibliotherapy for the Expansion of Library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4): 241-268.)
  2. 김순화. 2004. 공공도서관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울산남부 도서관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전공.(Kim, Soon-Hwa. 2004. A StudyoftheOperationontheBibliotherapyProgram in Public Libraries: A case study of Ulsan NamBu Library. Ph.D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Dept of Library, Archive and Information Studies.)
  3. 김정근. 2004. 김정근의 독서치료 이야기. 출판저널, 5: 148-149.(Kim, Jung-Gun. 2004. "Bibliotherathpy story of Kim Jung-Gun." Pubishing Journal, 5: 148-149.)
  4. 김정근 외. 2009. 독서가 마음의 병을 치유한다: 체험형 독서치료 이야기. 파주: 한울 아카데미.(Kim, Jung-Gun et al. 2009. Experience-oriented Bibliotherapy. Paju: Hanul Publishing Group.)
  5. 곽철완. 2013. 한국 인터넷서점 분류체계 연구: 카테고리와 도서 분류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1): 221-247.(Kwak, Chul-Wan. 2013. "A Study of Classification System for Online Bookstore in Korea: Categories and Book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47(1): 221-247.) https://doi.org/10.4275/KSLIS.2013.47.1.221
  6. 남산도서관. 2007-2014. 독서치료 자료집: 상황별 독서목록 수록. 서울: 남산도서관.(Nam-San Library. 2007-2014. Bibliotherapy List. Seoul: NamSan Library.)
  7. 신민섭 외. 2004. 가정 폭력이 배우자 및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3): 611-636.(Shin, Min-Sup et al. 2004.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on Psychological Adjustment of Spouses and Their Children."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clinical psychology, 23(3): 611-636.)
  8. 신재주. 2004. 우리나라 위기가정에 관한 연구: 이혼문제를 중심으로. 지역복지정책, 18: 91-115.(Shin, Jae-Joo. 2004. "A study on families at stake - focusing on divorce issue." Local Welfare Policy, 18: 91-115.)
  9. 이영식. 2006. 독서치료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학지사.(Lee, Yong-Sik. 2006. How do bibliotherapy. Seoul: Hakjisa.)
  10. 이현실. 2010. 대학도서관 독서치료 주제목록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 179-192.(Lee, Hyun-Sil. 2010. "A Basic Study of Subject Catalogue Related to Bibliotherapy in the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4): 179-192.)
  11. 원동연, 유혜숙, 유동준. 2013. 5차원 독서치료. 파주: 김영사.(Won, Dong-Yeon, Hae-Sook Yoo, and Dong-Jun Yoo. 2013. Five-dimensional Bibliotherapy. Paju: Gimmyoungsa.)
  12. 한윤옥. 2003. 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의 기초적 요건에 관한 연구: 상황 설정 및 분류체계와 관련하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1): 5-26.(Han, Yoon-Ok. 2003. "A Study of the Basic Factors of Bibliographic Tool for the Bibliotherap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1): 5-26.) https://doi.org/10.4275/KSLIS.2003.37.1.005
  13. 한윤옥. 2004. 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의 기초적 요건에 관한 연구 II: 사례분석을 통한 상황설정 및 분류체계 예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249-275.(Han, Yoon-Ok. 2004. "A Study of the Basic Factors of Bibliographic Tool for the Bibliotherap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38(3): 249-275.) https://doi.org/10.4275/KSLIS.2004.38.3.249
  14. Abdullah, Mardziah Hayati. 2002. "Bibliotherapy." ERIC Digest, 1-6.
  15. Arulanantham, S. and S. Navaneethakrishnan. 2013. "Introducing Bibliotherapy in Public Libraries of Jaffna district: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the University Librarians Association of Sri Lanka, 17(2): 104-118.
  16. Crothers, S. 1916. "A Literary Clinic." The Atlantic Monthly, 118(3): 291-301.
  17. Gelles, RJ and MA. Straus. 1979. "Violence in the American family." Journal of Social Issue, 35: 15-39. https://doi.org/10.1111/j.1540-4560.1979.tb00799.x
  18. Mohr, Carolyn, Dorothy Nixon, and Shirley Vickers. 1991. Books that heal: A whole language approach, Englewood. Colorado: Teacher Ideas Press.
  19. Rubin, Rhea Joyce. 1978. Using bibliotherapy: A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Phoeniz. AZ: Oryz Press.
  20. Schrank, Frederick A. and Dennis W. Engels. 1981. "Bibliotherapy as a counseling adjunct: Research findings." The Personal and Guidance Journal, 143-147.
  21. 부산대학교 도서관 상황별 독서치료목록 [online]. [cited 2015.5.20]. .
  22. 우리말 시소러스 [online]. [cited 2015.5.20]. .
  23. 한국도서관협회의 상황별독서목록(증보편) [online]. [cited 2015.5.20]. .
  24. Online Dictionar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nline]. [cited 2015.5.20]. .
  25. Bibliotherapy [online]. [cited 2015.5.20]. .
  26. Amazon [online]. [cited 2015.5.20]. .
  27. The Guide to Self Helf Books [online]. [cited 2015.5.20]. .
  28. goodreads [online]. [cited 2015.5.20]. .

피인용 문헌

  1.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현황 및 개발방안에 대한 연구 vol.50, pp.4, 2015, https://doi.org/10.4275/kslis.2016.50.4.165
  2. 한국과 일본의 독서치료 연구동향 비교분석 vol.29, pp.1, 201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1.005
  3. 독서에 대한 해석수준이 초등학생의 독서량과 독서의 재미에 미치는 효과 vol.30, pp.4, 2015, https://doi.org/10.19066/cogsci.2019.3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