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easures of Monetary Rewards When Providing The Evidences

범죄증거자료 제보시 범죄신고보상금 지급방안에 관한 연구

  • 박형식 (중부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Received : 2015.05.06
  • Accepted : 2015.05.19
  • Published : 2015.05.30

Abstract

Many of crimes are solved by the report of people. Therefore, countries pay compensation to crime reporter. However, the current system of compensation is focused on the report of criminal fact and criminals arrest, so that there is no compensation on the providing evidenc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urrent judicial system adopted the principle of trial by evidence, all the facts are made by the evidence. But it is impossible to obtain all the evidence only by law enforcement agenc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people to report the evidence positively. So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take advantages of smart phones, vehicle black boxes and cctvs. Various incentives such as compensation would be needed to require the evidence of smartphone or black box, cctv. In order to strengthen evidence report, it will be needed the legislation of crime report compensation, smartphone apps development including the provision of various incentives.

범죄사건의 해결에 있어서 국민의 제보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는 헤아릴 수없이 많다. 따라서 국가에서는 범죄 신고자에게 보상금을 지급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보상금지급 체계는 범죄사실의 신고와 범인검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증거제보에는 아무런 보상을 하지 않고 있다. 반면에 현재의 사법제도는 증거재판주의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사실의 인정은 증거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수사기관의 수사능력만으로는 모든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범죄사실의 입증을 위한 국민들의 적극적인 증거제보가 절실하다고 하겠다. 증거확보를 위한 수단으로서 스마트폰, 차량용 블랙박스, cctv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폰이나 블랙박스, cctv에 녹화된 범죄증거를 수사기관에 제보하기 위해서는 제보자에게 범죄신고 보상금의 지급 등 다양한 유인책이 필요할 것이다. 국민들의 증거제보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신고 보상금의 법제화, 스마트폰 앱 개발, 증거제보시 각종 인센티브의 제공 등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재상, "신형사소송법", 2008, p. 496.
  2. 대판 1999. 9. 3. 99 도 2317
  3. 정병하, "수사과정의 녹음녹화자료와 증거능력", 법조 통권 제563호, (2003.8), p. 82.
  4. 최대호, "사인이 수집한 증거의 증거능력", 법정논총 통권 제56집, (2007), p. 206.
  5. 이계경, "국회의원 이계경 정책질의자료집2005-2", "현행 법률상 신고포상금제도의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2005.
  6. 김강현, "규제순응 제고 수단으로서의 신고포상금제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pp.99-101.
  7. 조병인, "범죄신고율 제고노력에 관한 고찰", 형사정책연구 통권 제34호, 1998, p. 451.
  8. 윤형보 외2인,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앱 이용 특성과 앱 비즈니스 모델에의 시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2013. 3, pp.32-42.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032
  9. 최원석, "스마트폰 기능적 속성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10. 설재훈, "차량용 블랙박스의 교통사고 감소효과", 손해보험 통권 제528호, 2012.11, pp. 2-3.
  11. 뉴스와이어, 2013.10.28.
  12. 류재화, "방범용 CCTV의 개념과 형태", 수사연구, 2011.3, pp. 16-17.
  13. 조현빈 외, "사회안전을 위한 CCTV 활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010. 3, pp. 264-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