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ement Prioritization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 Quality Attributes using PCSI Index - Focused on One Upper Level General Hospital -

잠재적 고객만족개선 지수를 이용한 의료서비스 품질 개선우선 순위 결정 - 일개 상급종합병원의 외래환자 및 근무자를 중심으로 -

  • 김정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공중보건학과) ;
  • 박천만 (계명대학교 대학원 공중보건학과)
  • Received : 2015.05.02
  • Accepted : 2015.06.17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study calculated the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PCSI index) and average satisfaction coefficient (ASC) by categorizing quality attributes based on the Kano analysis for medical service quality. This study seeks to suggest way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edical business management by determining priority to improve after applying the indexes to IPA. To achieve such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150 outpatients of a premium general hospital and 200 workers in four different sections in the same hospita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service quality to improve patient satisfaction between the outpatients and workers. Therefore, the focus should be put on those items deemed important by the patients rather than those that the workers called attention to in order to effectively improve service quality. Along with efforts to alleviate or eliminate inconveniences experienced by pati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programs for workers on customer reception and management such as delivering services with a kind manner and giving explanations in a proper and professional manner and exhibiting the right attitude.

Keywords

References

  1. 구영애, 한용준, 안성식(2011). 종합병원 의료서비스 품질 에 대한 평가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K대학병원 외래.병원고객을 중심으로. 고객만족경영연구 13(2): 101-128
  2. 김경목(2005). 대학병원 서비스 품질의 Kano 모형적 접근.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3. 김미교(2007). 병원 선택요인에 따른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대학원
  4. 김연성, 박성찬, 박영택, 서영호, 유한주, 이동규(2004). 품질경영론. 서울: 박영사.
  5. 김성수(2010). 서비스관계에 따라 서비스 품질, 서비스 가치, 감정반응 및 명성이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의료서비스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6. 김정희, 지경자, 박천만(2012). 의료서비스 속성에 따른 품 질이 전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일개 상급종합병 원의 외래 및 입원환자를 중심으로. 병원경영학회지 18(1) : 18-41
  7. 보건복지부(2011). 2020 한국 의료의 비전과 정책방향: 지속 가능한 고신뢰.고성과 의료제도의 구성. 서울: 보건복지부.
  8. 송해근(2013). 품질의 이원론을 이용한 개선의 우선순위 결정.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36(1) : 70-77
  9. 송해근(2013). Kano 모델을 이용한 수정된 중요도-만족도 분석.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5(1) : 241-248 https://doi.org/10.12812/ksms.2013.15.1.241
  10. 신봉섭, 김기석(2012). Kano 모델을 활용한 커피전문점의 품질분류와 고객만족개선 지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7) : 346-357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346
  11. 윤경일(2009). 병원의 서비스 개선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IPA 적용. 병원경영학회지 14(2) : 21-40
  12. 임성욱(2005).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 지수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3. 임성욱, 박영택(2010).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잠재적 고객만족개선 지수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2010(1) : 291-309
  14. 정동준, 정민수, 변진옥(2006). 입원환자가 병원시설, 의료 인력, 만족도, 재이용 간의 구조분석. 보건과 사회 과학 19: 151-178
  15. 지경자, 박천만, 이종렬(2011). 환자가 인지하는 의료서비스 질이 지각하는 가치와 만족도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문병원과 일반병원을 중심으로. 대한보건협회학술지 37(2): 41-46
  16. 한상인, 황선진(2011). Kano 모델 및 PCSI 지수를 통한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백화점을 중심 으로. 복식 61(1) : 34-46
  17. Anderson, E. W., Mittal, V.(2000). Strengthening the satisfaction-profit Chain. Journal of Service Research, 3(2) : 107-120 https://doi.org/10.1177/109467050032001
  18. Jang, H. Y., Song, H. G., Park, Y. T.(2012). Determining the importance values of quality attribute using ASC.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Management, 40(4) : 589-598 https://doi.org/10.7469/JKSQM.2012.40.4.589
  19. Kano, N., Seraku, N., Takahashi, F., Tajui, S.(1984). Attactive quality and must-be quality.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for Quality Control, 14(2) : 39-48
  20. Martilla, J. A., James, J. C.(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 77-80 https://doi.org/10.2307/1250495
  21. Matzler, K., Hinterhuber, H. H., Bailom, F., Sauerwein, E.(1998). How to make product development projects more successful by integrating Kano's model of customer satisfaction into quality function development. Technovation, 18(1): 25-38 https://doi.org/10.1016/S0166-4972(97)00072-2
  22. Slack, N.(1994). The importance-performance matrix as a determinant of improvement priority.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and Production Management, 14(5) : 59-75 https://doi.org/10.1108/01443579410056803
  23. Timko, M.(1993). An experiment in continuous analysis: in Kano's methods for understanding customer-defined quality. Center for quality of Management Journal, 2(4) : 17-20
  24. Tontini, G.(2007) Integrating the Kano model and QFD for designing new products. Total Quality Management and Business Excellence, 18(6) : 599-612 https://doi.org/10.1080/14783360701349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