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제 스포츠 행사를 위한 영어교육 방안

English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ports Events

  • 투고 : 2015.02.03
  • 심사 : 2015.03.20
  • 발행 : 2015.06.28

초록

본 연구는 (1)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영어 교육 준비 실태를 파악하고 (2) 영어 교육 활성화를 위한 영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여, 국제 스포츠행사를 위한 효과적인 영어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제스포츠 행사 교육 관리 관계자와 전화 인터뷰를 하거나 자료를 제공받았고 그 결과, 조직위에서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관계자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며, 강릉시에서는 글로벌리더나 통역봉사단 등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으로 나누어 언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릉시 글로벌리더 양성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들과 최근 국제 스포츠 행사에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26명을 대상으로 국제 스포츠 행사 영어 교육을 위한 설문을 한 결과, 국제 스포츠 행사와 관련된 내용을 가르치는 영어교육 수업이나 이에 가장 적합한 수업 방법에 대한 요구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어 잘하는 사람들을 최대한 잘 활용하기 위해 DB구축을 체계적으로 잘하고, 이들이 선발된 이후에는 단기간 동안 본인이 맡은 봉사 직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영어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이에 적합한 교수법과 교수 내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of English education for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preparations, and (2) to identify the need for an English language training program for international sports events. With these goals in mind, the information was gathered from telephone interviews with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who were responsible for international sporting events. For the survey, a total of twenty-six participant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designed to gauge their self-perceived English instructional needs for international sporting events. The principal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the Pyeongchang Organizing Committee for the 2018 Winter Olympic Games signed an agreement with an official supplier of language training services. In addition, Gangneung city is providing a 'Global Leaders' Academy' and English programs for taxi drivers and citizens.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s that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reported that an English language training program is essential for international sporting events and it should be different from general English language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종영, 남승구, 한광령, 이수연, "체육분야 자원봉사자 시스템 구축 방안",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3권, 제4호, pp.61-84, 2010.
  2. 최선화, "자원봉사자 활용방안 연구: 국제체육행사를 중심으로", 논문집, 제44권, 제2호, pp.147-167, 1997.
  3. 김은숙, "강원도 국제 스포츠대회 지원을 위한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 2018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을 중심으로", 강원발전연구원, 2012.
  4. 경향신문, [Now in 도쿄]2020 도쿄올림픽 앞두고 '영어열풍', 2015년 1월 7일.
  5. 김지은, 유호,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효과적인 의사소통 중심 스포츠 영어 교육", 영어영문학, 제19권, 제4호, pp.281-299, 2014.
  6. 김지은, 유호, "특수목적 영어 (ESP)로서의 스포츠 영어교육: 스포츠 관련 분야 학생들의 자기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제11호, pp.509-51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509
  7. 김지은, 유호, "COLT 수업관찰 분석법을 토대로 한 영어 체육 통합 수업 분석", 영어영문학연구, 제56권, 제1호, pp.113-127, 2014.
  8. 김은숙,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영어교수법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9. 박정영, 유정남, "효과적인 관광영어 교육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전문대학 관광영어통역학과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22권, 제3호, pp.157-178, 1999.
  10. 이재섭, 전인순, "전문대학 관광관련학과 관광영어교육 학습성취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연구, 제10권, 제1호, pp.181-198, 2006.
  11. 김정희, "관광학과 학생을 위한 관광영어 교수법 연구", 현대영어교육, 제8권, 제2호, pp.270-289, 2007.
  12. 장양례, 이재학, "관광영어교수법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와 만족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연구, 제7권, 제3호, pp.307-323,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