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on Clinical Competence of the Nursing Students

간호 대학생의 감성 지능과 자기 효능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양선이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5.02.25
  • Accepted : 2015.05.19
  • Published : 2015.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on clinical competence of the Korean nursing students. A total of 199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questionnaires constructed to include Wong &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WLEIS), General Self-efficacy Scale, and the Clinical Competence Scale. As a result,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y of the Korean nursing students were found to be at moderate levels(Emotional intelligence: M=4.7, SD=0.81; Self-efficacy: M=3.2, SD=0.34; Clinical competency: M=3.4, SD=0.56). Also, the nursing students with higher grades and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e.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linical competency(r=.566, p<.001),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y(r=.440, p<.001). The factors affecting clinical competency were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gender. They amounted to 49.3% in clinical competency. Thes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strategies to promote clinical competency of the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감성 지능과 자기 효능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자로 일 대학의 간호 대학생 199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은 Wong &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WLEIS), General Self-efficacy Scale, 임상수행능력 도구를 통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감성 지능, 자기 효능감, 임상수행능력은 중간 수준(감성 지능은 M=4.7, SD=0.81; 자기 효능감은 M=3.2, SD=0.34; 임상수행능력(5점 만점)은 M=3.4, SD=0.56)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간호 대학생의 학년과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더 나아가 감성 지능과 임상수행 능력의 상관성(r=.566, p< .001), 자기 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r=.440, p< .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성 지능, 자기 효능감, 성별이었다.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총 49.3%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 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이들 변수를 반영한 다양한 교수법과 학습전략마련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외선, 구미옥,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 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2749-2759. https://doi.org/10.5762/KAIS.2013.14.6.2749
  2. 강양희, 홍민주,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 비판적 사고성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16권, 제5호, pp.2841-2853.
  3. 최미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교수효율성과 임상수행 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5.
  4. 홍선영,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5797-5804,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1.12.12.5797
  5. 김민희, 영아의 사회 정서적 적응과 성, 연령, 기질 및 어머니 양육행동의 관계,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경기, 2010.
  6. J. D. Mayer and P. Salovey, "The Intellig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telligence, Vol.17, pp.433-442, 1993. https://doi.org/10.1016/0160-2896(93)90010-3
  7. C. S. Wong and K. S. Law,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Leadership Quarterly, Vol.13, pp.243-274, 2002. https://doi.org/10.1016/S1048-9843(02)00099-1
  8. 이수진, 임상 간호사의 감성지능, 대인관계 능력과 업무성과와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기, 2013.
  9. 김주형, 송주은, 이순규, 허수경, 성영희, 이정은,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1호, pp.80-89, 2011.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1.080
  10. 양선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교류 특성 및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4권, 제7호, pp.334-345, 2014.
  11. 신회덕,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심리치료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7.
  12. 심미정, 오효숙,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328-33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328
  13. 홍선연,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산하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5797-5804, 2011.
  14.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15. 정현우,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경영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07.
  16. M. Sherer, J. E. Maddux, B. Merca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and R. W. Rogers,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51, pp.663-671, 1982.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17. 전상원,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용인, 2009.
  18. C. Barret and F. Myrick,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27, pp.364-371, 1998.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8.00511.x
  19. 차주애,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과의 관련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남, 2013.
  20. 이원희, 김조자, 유지수, 허혜경, 김경숙, 임성민.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간호학논집, 제13권, pp.17-27, 1990.
  21. 최미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교수 효율성과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5.
  22. G. Benson, J. Ploeg, and B. Brown, "A cross sectional study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Vol.30, No.1, pp.49-53, 2010. https://doi.org/10.1016/j.nedt.2009.06.006
  23. 양정숙, 일 대학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업무성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4.
  24. 최은주, 간호사의 감성지능이 조직몰입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11.
  25. 이경희, 송정수, "간호사의 감성지능이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행정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7-25, 2010.
  26. 이외선, 구미옥, "간호대학생을 위한 감성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혼합연구 설계 적용", 대한간호학회지, 제44권, 제6호, pp.682-696, 2014. https://doi.org/10.4040/jkan.2014.44.6.682
  27. 정복례 외, 문제중심학습 모듈 개발, 서울: 현문사, 2006.
  28. 황중원,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이 자기효능감이문화역량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광주, 2013.
  29. 신은정, 박영숙,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아 탄력성, 임상실습스트레스",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5636-5645,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11.5636
  30. A, M. Beauvais, N. Brady, E. R. O'Shea, and M. T. Griff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ing performance among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Vol.31, No.4, pp.396-401, 2011. https://doi.org/10.1016/j.nedt.2010.07.013
  31. A, T. Yazachew,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gender in analytical chemistry at debre markos college of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Vol.23, No.2, pp.188-197, 2012. https://doi.org/10.1177/1043659611423836
  32. E. Rice, "Predictors of successful clinical performance in associate degre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or, Vol.40, No.1, 2015.
  33. H. Rezwan, G. Akram, K. Novroozali, G. Hossin, and J. Mirmosavi, "Factors affecting the teaching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GSE Journal of Education, pp.174-184,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