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수술 후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한 큰 기도 결손부 재건 1예

Reconstruction of a Large Cricotracheal Defect Using a Sternocleidomastoid Myoperiosteal Flap : A Case of Locally Aggressive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ith Tracheal Invasion

  • 김상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해운대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 김미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해운대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 김용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해운대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 백무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해운대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 박준욱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해운대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Kim, Sang Min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Haeundae Paik Hospital) ;
  • Kim, Mi Ra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Haeundae Paik Hospital) ;
  • Kim, Yong-Wan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Haeundae Paik Hospital) ;
  • Baek, Moo Jin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Haeundae Paik Hospital) ;
  • Park, Jun-Ook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Haeundae Paik Hospital)
  • 투고 : 2015.03.30
  • 심사 : 2015.05.12
  • 발행 : 2015.05.30

초록

기관을 침범한 갑상선 악성종양을 제거한 후에 성문하부에 비교적 큰 기관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 단단문합술은 넓은 부위의 결손부를 재건하는 방법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문합부 파열, 반회후두신경마비, 재협착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증례는 기도를 침범한 갑상선 유두암종을 제거한 후 윤상연골과 기관연골의 비교적 큰 결손부를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재건한 사례이다. 55세 남자 환자가 기도를 침범한 갑상선 유두상암으로 내원하였으며 기도침범은 윤상연골(둘레의 약 30%)과 4개의 기관연골(둘레의 약 50%)을 해당하는 넓은 부위였다. 수술 전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여 주위 기관연골의 상태가 좋지 않아 단단문합술 시행 후 문합부 파열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하여 재건하기로 계획하였다. 갑상선 절제술, 경부림프절 절제술,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12일째 별다른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현재 22개월 간 기도 협착 등의 별다른 합병증 없이 지내고 있다.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은 성문하부나 기관지 전외측벽의 비교적 큰 결손부를 재건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키워드

참고문헌

  1. No YH, Oh JH, Kim SW, Lee KD. A Case of Window Resection and Secondary Reconstruction of the Trachea Invaded by Papillary Thyroid Carcinoma.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12;55:642. https://doi.org/10.3342/kjorl-hns.2012.55.10.642
  2. Czaja JM, McCaffrey TV. The surgical management of laryngotracheal invasion by well-differentiat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rchives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7;123:484-490. https://doi.org/10.1001/archotol.1997.01900050030003
  3. Furstoss JA, Toohill RJ. Composite nasal septal autografts of the trachea. The Annals of Otology, Rhinology, and Laryngology. 1973;82:831-837. https://doi.org/10.1177/000348947308200615
  4. Zalzal GH, Cotton RT, McAdams AJ. The survival of costal cartilage graft in laryngotracheal reconstruction.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Official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86;94:204-211. https://doi.org/10.1177/019459988609400213
  5. Friedman M, Grybauskas V, Toriumi DM, Kaplan A, Seiden A. Reconstruction of the subglottic larynx with a myoperiosteal flap: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y. Head and Neck Surgery. 1986;8:287-295.
  6. Friedman M, Grybauskas V, Toriumi DM, Skolnik E, Chilis T. Sternomastoid myoperiosteal flap for reconstruction of the subglottic larynx. The Annals of Otology, Rhinology, and Laryngology. 1987;96:163-169. https://doi.org/10.1177/000348948709600205
  7. Friedman M, Toriumi DM, Owens R, Grybauskas VT. Experience with the sternocleidomastoid myoperiosteal flap for reconstruction of subglottic and tracheal defects: Modification of technique and report of long-term results. The Laryngoscope. 1988;98:1003-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