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yber Home Learning System Circumstance, Student, Learning Satisfa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교 사이버가정학습 환경, 학습자 요인, 학습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 Received : 2015.05.19
  • Accepted : 2015.06.24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Cyber Home Learning System(CHLS) circumstance, learner construct, learning satisfa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 on the selected data which was gathered from Chungbuk & Deajeon elementary schoo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 : First, CHLS circumstance factor was more effective on the CHLS satisfaction than CHLS learner construct. In CHLS circumstance factor, 'service' factor was more influential variable. Second,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CHLS circumstance factor and CHLS learner construct. In CHLS satisfaction, 'contents and design' factor was more influential variable. Third, the model fit, = 624.945 (p<.001), RMR .020, GFI .929, AGFI .878, NFI .927, CFI .930, RMSEA .102 was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standar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based on this results, CHLS in elementary education needs elaborate circumstance for the effective achievement.

본 연구는 최근 확산되고 있는 이러닝 학습 환경과 관련하여, 사이버가정학습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환경요인과 학습자요인으로 구분하고 이들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청북도와 대전에 위치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1,784명에게 관련 요인에 대한 설문을 수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자 요인과 환경요인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학습자 요인보다 환경요인에 의해 사이버가정학습의 만족도가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 개개인의 역량이나 특성보다도 효과적인 이러닝 학습 환경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학습 성취도가 보장될 수 있다는 점과, 한편으로 교사나 부모의 지도에 따라 사이버 가정학습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고 주로 과제나 의무로 참여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피동성이 반영된 결과로도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