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terior Environmental Planning Factors for Improving Safety and Security in Early Children Facilities

안전성 향상을 위한 유아시설 실내환경 계획요인에 관한 연구

  • 변기동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공간디자인전공) ;
  • 권주영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 하미경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Received : 2015.02.24
  • Accepted : 2015.04.08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Recently in most homes, children are mostly ca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However, the increased number of safety accidents on children cared in such facilities has become a social issue. For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nterior environmental planning elements to improve safety lev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performing literature review analysis and survey. First, in total of 42 environmental planning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domestically were derived from analyzing safety related guidelines for children facilities locat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n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ed for teachers and staffs in the facilities on importance of th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t is required to intensify the level of safety related training for teachers and staffs in the facilities including better treatment for them. Second, the necessity of safety environment by each space in such facilities is required to be approached upon the level of child activities. Third, facilities planning and finalizing planning are important for improving safe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Forth, from factor analysis on the extracted environmental planning elements that are considered as important by the teachers from both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hey were categorized in 5 groups including 'collision and fall prevention plan', 'physical characteristic consideration plan', 'evacuation safety plan', 'lock security plan' and 'outer control plan'. It is fair to say that constructing a better safety environment for children can be achieved by the environmental planning factors by this study.

Keywords

References

  1. Mickalide, Angela D, Creating safer environments for children, Childhood Education, vol.70 no.5, 1994
  2. 권경숙, 박지영, 어린이집 영아 안전사고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경험 및 영아 안전교육,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제14권 제4호, 2010
  3. 김수향, 임경심, 홍혜경, 유보통합 교사양성체제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 간 인식비교, 유아교육연구, 제34권 제3호, 2014
  4. 김신정, 김예영, 김성희, 박현정, 강경아, 보육시설 아동에 대한 교사의 안전교육 요구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2013
  5. 김영실, 윤진주, 유수정, 유아 교통안전 교육에서 토의 중심과 시범 중심 교수법이 유아의 교통안전 지식 및 실천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6호, 2009
  6. 김은설, 2007년도 제5차 이사회 회의록, 한국공간구조학회지, 제7권 제5호, 2007
  7. 김정훈, 국공립.민간 보육시설 안전사고 실태에 대한 차이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제14권 제3호, 2010
  8. 김혜금, 보육시설 안전사고 예방과 보상에 대한 부모와 보육시설장의 인식, 아동학회지, 제30권 제4호, 2009
  9. 박은혜, 장민영, 통합 요소별로 살펴본 8개국의 유아교육과 보육 통합 현황 비교 : 노르웨이, 뉴질랜드, 덴마크, 스웨덴, 영국, 일본, 프랑스, 핀란드, 교육과학연구, 제45권 제1호, 2014
  10. 박애경, 수원시 보육시설의 실내.외 놀이영역의 안전실태조사, 한국보육학회지, 제5권 제1호, 2005
  11. 박애경,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유아 식품안전교육 프로그램개발, 한국보육학회지, 제7권 제4호, 2007
  12. 박애경, 보육교사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태도, 한국보육학회지, 제8권 제4호, 2008
  13. 박애경, 류경, 보육시설의 식품안전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제6권 제1호, 2006
  14. 박영선, 신동주, 유아교육기관 유아 안전사고의 잠재적 요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34권 제2호, 2014
  15. 박용길, 유치원 안전교육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2권 제5호, 2003
  16. 부성숙, 한국, 미국(NAEYC), 호주(QIAS)의 유아교육 기관 평가 지표 비교 연구:"건강,안전 영역"중심으로, 교육의 이론과 실천, 제18권 제2호, 2013
  17. 서보열, 이호영, 홍원화, 유아보육시설의 소방설비설치 현황 및 화재안전의식 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제25권 제12호, 2009
  18. 성은현, 윤선화, 정윤경, 초등학교, 유치원, 어린이집에서의 교통안전교육 실태 비교, 한국영유아보육, 제31권, 2002
  19. 송주승, 정혜명, 유아교육기관의 위생관리 실태 및 안전 인식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제13권 제4호, 2009
  20. 신동주, 유치원의 실외놀이환경 구비 실태 및 실외놀이시설 안전점검 실태, 유아교육학회지, 제8권 제4호, 2004
  21. 신은수, 김은정, 유영의, 유치원의 실외놀이의 구성 및 운영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제31권 제2호, 2012
  22. 오가실, 심미경, 최은경, 보육시설 아동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식, 자신감, 실천,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제14권 제2호, 2008
  23. 오가실, 심미경, 최은경, 아동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제15권 제1호, 2009
  24. 윤선화, 유아교육기관에서 발생하는 유아교사의 안전사고 실태, 육아지원연구, 제7권 제2호, 2012
  25. 이선미, 조민순, 보육교사의 응급상황에 따른 처치방법에 대한 실태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7권 제4호, 2010
  26. 이수재, 이진숙, 보육시설의 안전관리 실천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2 제1, 2006
  27. 이순자, 유아교육기관 주변영역의 안전 실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제7권 제4호, 2007
  28. 이율이, 이완정, 아동 보호권의 관점에서 본 보육시설 어린이 통학버스 안전현황과 문제점, 아동과 권리, 제8권 제3호, 2004
  29. 이은숙, 김정남, 도시지역 어린이집 및 유치원 어린이의 안전사고 발생 실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17권 제1호, 2003
  30. 이정민, 유수정, 강상, 만 2세 영아를 위한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이 어린이집 내 비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7권 제6호, 2012
  31. 이지숙, 보육시설의 실내공간계획 및 설비와 소방설비의 안전성관련 기준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3
  32. 이화영, 신동주, 실외놀이시설 놀이안전규칙에 대한 유아의 인식 및 행동, 한국영유아보육학, 제47권, 2006
  33. 이희선, 최미란,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 시설 설비 실태와 안전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45권 제10호, 2007
  34. 전병주, 윤경미, 어린이집 통학버스 운전자의 유형에 따른 안전의식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2014
  35. 정미라, 강수경, 실외놀이터 안전실태: 관리주체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6권 제5호, 2011
  36. 정유진, 정진주, 충북 청주지역 유치원 내 안전사고 현황과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16권 제3호, 2014
  37. 정재경, 성소영, 영아안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천 및 지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8권 제2호, 2011
  38. 정효은, 평가인증 통과 이후 건강과 영양 및 안전 영역 유지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1권 제2호, 2014
  39. 차경순, 유연옥, 공립유치원 교사의 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실천, 아동교육, 제15권 제2호, 2006
  40. 채영란, 신수경, 유아 교사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교실환경 안전실태와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학회지, 제13권 제3호, 2009
  41. 최윤이, 이재연,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의 물리적 신변안전 환경실태와 개선책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49권, 2007
  42. 최은진, 한혜련, 유치원의 안전한 실내 환경을 위한 실태 조사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통권 제24호, 2008
  43. 최혜진, 남미경, 손원경, 어린이집 건강과 영양, 안전관리 현황과 과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0권 제2호, 2014
  44. 권주영, 이종혁, 김숙하, 하미경, 유아시설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공간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4권 제2호, 2014
  45. 이종혁, 권주영, 변기동, 하미경,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공간구성 및 시설기준 비교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4권 제2호, 2014
  46.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47.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141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