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asic Study on Selective Visual Search by Eyetracking - Image arond the Department Store Space -

시선추적을 이용한 선택적 시각탐색에 대한 기초적 연구 - 백화점매장 공간 이미지를 중심으로 -

  • 박선명 (경북대학교 건축학과) ;
  • 김종하 (동양대학교 건축소방행정학과)
  • Received : 2015.01.27
  • Accepted : 2015.03.17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Gaze induction characteristics in space vary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nents and display. This study analyzed dominant eye-fixation characteristics of three zones of department store space. Eye-fixatio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spatial components and positional relationship can be defined as follows. First, [**.jpg] was used as an extension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image photographed during image data processing for analysis in pixels and due to compressed storage of image data, the image produced with a clear boundary was stored in neutral colors. To remove this problem, the image used in operation was re-processed in black and white and stored in the [**.bmp] format with large capability, at the same time. As the result, the effort caused by unnecessary colors in the program operation process was corrected. Second, the gaze ratio to space area can be indicated as a strength of each gaze zone and when analyzing the gaze strength of the three zones, the left store was a zone with a "little strong" gaze strength of "102.8", the middle space was a zone with an "extremely weak" gaze strength of "89.6" and the right store was a zone with an "extremely strong" gaze strength of "117.2". Third, the IV section had a strong strength of gaze on the middle space and the right store and the V section showed a markedly strong strength of gaze on the left and right stores. This tendency was the same as the VI section with the strongest gaze strength and the right store had a little strong gaze strength than the left store.

Keywords

References

  1. 박찬웅, 본다는 것, 도서출판 의학서원, 2009
  2. 피터드러커, 한권으로 읽는 드러커 100년의 철학, 남상진 역, 청림출판, 2004
  3. 廣瀨通孝, バ一チャル.リアリティ, 産業圖書, 1993
  4. Arhur Asa Berger,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 이지희, 미진사, 2001
  5. Robert L, Solo, 시각심리학, 신형정.유상욱, 시그마플러스, 2000
  6. 김종하, 실내공간 주시 데이터의 보정과 분석과정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3호, 2011
  7. 김종하, 공간의 의식적 주시와 정보의 탐색활동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3권 3호, 2014
  8. 김지호.부수현.이우철.김재휘, 광고의 크기와 위치, 부분 겹침 단서가 소비자의 시각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8권 3호, 2007
  9. 김현관.최상현, 우리나라 주요 도심 백화점의 차별화 전략에 따른 디자인 특성에 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9호, 2003
  10. 반영선.김종하, 주거공간에 있어 주시정도 변화에 따른 주시특성의 분석과 추정에 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1호, 2012
  11. 백민영, 국내 백화점 캐주얼 의류매장의 브랜드이미지 차별화 전략에 따른 실내디자인 표현특성에 관한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2009
  12. 유재엽.박혜경.임채진, 박물관 전시공간에서의 주시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1
  13. 이선영.이기은, 여성과 관련한 백화점 내 공간변화에 관한연구, 대학건축학회, 제21권 4호, 2005
  14. 장규순.신수길, 백화점 화장품매장의 비주얼머천다이징 전략이 여성고객의 구매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디자인학연구, 제59권, 2005
  15. 정수현.최상헌, 국내 백화점 실내디자인 이미지유형 및 구성요소 분석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22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