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sing frequency and needs for walking sphere of neighborhood facilities by the elderly - Focused on the elderly who lived in Busan -

노인의 근린생활시설 이용정도와 도보권 시설요구 - 부산지역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

  • Oh, Chan Ohk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 Inje University)
  • 오찬옥 (인제대학교 디자인학부 실내디자인 전공)
  • Received : 2015.05.17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As the aging society is rapidly coming, the needs for the elderly-friendly living environments was also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frequently 25 neighborhood facilities were used by the elderly and what facility they wanted to be arranged within their walking distanc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58 elderlies who were their ages of more than 65 years and lived in Busan.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n one to one interview method.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elderly used very frequently facility for the elderly such as a senior center, walking road, and park and green space. Also, bus stop, traditional market, and resting facilities were used relatively frequently. 2) Some neighborhood facilities were used not frequently, but periodically. 3) Using frequencies of some neighborhood facilities were different by the elderly's characteristics. 4) Among 25 neighborhood facilities, the facilities which the old persons wanted to be arranged within walking distance were medical clinics, facilities for the elderly, subway station, bus stop, traditional market, park and green space, walking road, and food market/convenience store.

현대 사회가 고령화 사회가 되어감에 따라 노인 친화적 환경에 대한 관심과 요구도 커지고 있다. 우리의 생활환경을 노인 친화적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이 어떤 건물이나 시설을 자주 이용하는지 그 이용정도를 파악하여 그 건물이나 시설을 우선적으로 노인 친화적이 되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들이 노인관련 근린생활시설을 어느 정도 자주 이용하고 있는지와 도보권에 위치하기를 원하는 노인관련 근린생활시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158명이며 설문지를 이용한 일대일 면담조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노인들은 경로당이나 노인대학, 노인복지회관 등의 노인시설과 산책로 및 공원녹지시설의 이용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버스정류장과 재래시장 및 정자 등 휴게시설 이용빈도도 비교적 높았다. 또한 근린생활시설 중에는 이용빈도가 높지는 않지만 많은 노인들이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시설들도 있었다. 둘째, 노인의 특성에 따라 금융시설, 의원/병원, 약국, 공중목욕탕, 이·미용실 등의 근린생활시설 이용빈도는 달랐다. 셋째, 25개의 근린생활시설 중 많은 노인들이 도보권 내에 위치하기를 바라는 시설은 의원/병원, 노인시설, 전철역, 버스정류장, 재래시장, 공원녹지, 산책로, 식료품점/편의점 등의 순이었다.

Keywords

Cited by

  1. Analysis of Accessibility Changes to Neighborhood Food Environment and Food Desert Phenomenon in Seoul, Korea : Focused on the High-density Areas of Low-income Older Adults vol.56, pp.1, 2015, https://doi.org/10.17208/jkpa.2021.02.56.1.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