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ustainable Service Improvement - Cas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 -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을 위한 연구 - 서울대학교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

  • Sung, Hyun Jin (Sungkyunkwan University Service convergence process design collaboration) ;
  • Kim, Young Se (Service Design Institute, Sungkyunkwan University)
  • 성현진 (성균관대학교 서비스융합디자인협동과정) ;
  • 김용세 (성균관대학교 서비스융합디자인협동과정)
  • Received : 2015.02.17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e healthcare service industry has become one of the business industries in South Korea where service design is most actively being researched on and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upsurge of the interest in health, healthcare service is expanding its area including disease prevention, patient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as well as cure and nursing care. The health manpower is the supplier, and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ability and the patients' trust in medical technology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ir customers. In addition, service design has come into the spotlight given that the medical institute system, health manpower attitude, and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touch point ar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contributing to customer satisfaction. It is very hard to satisfy customers only through professionalism, the environment, and product improvement because healthcare service deals with much more sensitive and emotional customers compared to other service industries. This means that a change in the service mind-set and the attitude of the health manpower as emotional labourers have practical effects. Therefore, the fundamental solution is to establish a system that provides related education with manpower and that settles various problems by itself. This paper introduces several solutions, such as education for health manpower and a service design system applied to a national-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South Korea, and takes a close look at its effects.

최근 한국 내에서 서비스 디자인을 가장 활발히 연구하고 적용하는 분야 중 하나가 의료서비스 업계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의료서비스는 치료, 간호뿐 아니라 예방, 관리, 재활의 주체로 그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보건 의료 종사자는 서비스 공급자이며.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에게는 서비스 제공자의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 그리고 의료기술에 대한 신뢰가 가장 중요하다. 또한 그에 못지않게 의료기관의 시스템, 종사자들의 태도, 정보의 전달, 터치 포인트 등의 경험은 고객의 만족도를 좌우하는 주요한 요소가 되므로 이를 다루는 서비스 디자인은 더욱 주목 받고 있다. 특별히 다른 서비스업보다 고객의 예민한 상황과 감정을 다루어야 하는 의료서비스분야의 특성상 전문성이나 환경, 그리고 제품의 개선만으로는 충분한 만족감을 주기 어렵다. 그것은 감정 노동자라고 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인 의료 종사자의 서비스 마인드와 태도의 변화가 함께할 때 실질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위한 교육이나 문제의식을 갖고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등이 궁극적인 솔루션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서울대학교병원에 적용된 서비스 제공자들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시스템과 교육 등을 포함한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그 효과에 대해 다루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