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terac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 and Life Satisfaction of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산재장애인 재활서비스와 일상생활만족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장유미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염동문 (한국국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11.06
  • Accepted : 2015.11.20
  • Published : 2015.11.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habilitation service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and how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influence in this relation. For this, it analyzed 977 people who were using rehabilitation service with industrial disaster disability among 2,000 research subjects using the first year materials of industrial disaster insurance panel of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For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on the suggested 3 model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in the relation of medical rehabilitation of the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and life satisfaction by applying SPSS Macro and Sobel method and did th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control effect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by the mean centering of the material.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when the satisfaction on the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 was increased the satisfaction on the voacational rehabilitation was increased, when the satisfaction o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was increased, the satisfac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was increased, and when the satisfaction on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was increased the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 had a indirect effect on the daily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의 재활서비스와 일상생활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의료재활서비스와 심리사회재활서비스, 직업재활서비스 만족도가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패널조사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조사대상자 2,000명 중에서 산재장애가 있으면서 재활서비스를 이용하는 97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제시된 3가지 모델에 대한 변인간의 관계는 SPSS Macro 및 Sobel 방법을 적용하여 산재장애인의 의료재활서비스와 일상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직업재활 서비스의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심리사회적재활서비스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자료를 평균중심화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의료재활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면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증가하고,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면 일상생활만족이 높아지고, 심리사회재활서비스가 높아질수록 산재장애인의 의료재활서비스가 일상생활만족에 간접효과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산재장애인이 재활서비스를 통해 일상생활만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 "고용노동용어 해설", 고용노동연수원, 2013.
  2. 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보고서", 고용노동부, 2013.
  3. 최용민, 김지영. "산재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체계의 발전 방안", 대한케어복지학, 제14권, pp. 27-480, 2011.
  4. 최윤영. "산재근로자 직장복귀지원금 실태 및 제도개선방안", 직업재활연구, 제19권, 제2호, pp. 71-90, 2009.
  5. 변민수. "산재장애인의 직업훈련 효과 분석. 하반기 수시과제 자료집",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09.
  6. 임광세, "새로운 신체장해 평가방법의 구비조건", 인권과 정의, 제316권, pp. 8-14, 1997.
  7. 김종인, 우주형, 이상진, 김명자, 이병오, 권수명, 최태진, 한희정, "산재장해인의 사회심리재활", 한국산재노동자협회, 2002.
  8. 이명숙, "산업재해장애인의 직업재활 활성화 방안",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9. 정인원, "산업재해환자의 다면적 인성검사비교연구", 정신의학, 제16권, 제3호, pp. 226-234, 1991.
  10. 곽영숙, "산업재해 환자의 정신의학적 문제", 신경정신의학, 제21권, 제3호, pp. 23-33, 1982.
  11. 백기주, "산업재해 입원 환자의 스트레스 지각, 자기 지각,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12. Preacher K. & Hayes A.,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with a multi categorical independent variable", Unpublished white paper, 2013.
  13. Preacher K., Rucker D. & Hayes A., "Addres 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 vioral Research. vol. 42, no. 1, pp. 185-227, 2007. https://doi.org/10.1080/00273170701341316
  14. 염동문, 정정숙,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일상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0권, 제4호, pp. 27-50, 2014.
  15. DeCarlo L., "On the meaning and use of kurtosis", Psychological Methods, vol. 2, pp. 292-307, 1997. https://doi.org/10.1037/1082-989X.2.3.292
  16. 김미정, 염동문, "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2호, pp. 1-21,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