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vailability of AtoM for Recording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 A Case of K-Food Contents

한류문화콘텐츠의 기록화를 위한 AtoM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K-Food 콘텐츠를 중심으로

  • 심갑용 (전북대학교 상과대학 경영학부) ;
  • 유현경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문상훈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이윤용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이정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연구소)
  • Received : 2014.12.14
  • Accepted : 2015.01.15
  • Published : 2015.01.30

Abstract

Korean wave 3.0 is focused on 'K-Culture' which includes traditional culture, cultural art as well as existing culture contents as a keyword. It considers everything about Korean culture as materials of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Since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reflect contemporary social aspect, it needs to preserve those contents as archives and records which have the important value of evidence. With this social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RMS based on AtoM that manages various kinds of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through analysis of management situation of those materials. Recently, it is in progress individually to manage them through organizations dealing with korean cultures such as K-Pop, K-Food, K-Movie. However, it has problems in accumulating information and reproducing high quality contents because of lack of coordination among organizations. To solve the problems, this study proposed RMS based on open source software Access to Memory(AtoM) for managing and recording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AtoM provides various functions for managing records and archives such as accumulation, classification, description and browsing. Furthermore AtoM is for free as open source software and easy to implement and use. Thus, this study implemented RMS based on AtoM to methodically manage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by functional requirements of RMS. Also, this study considered contents relating K-Food as an object to collect, classify, and describe. To describe it, this study selected ISAD(G) standard.

한류3.0은 기존의 문화콘텐츠 뿐만 아니라 전통문화, 문화예술을 포괄하는 'K-Culture'를 핵심어로 내세우며 한국적인 모든 것을 한류문화콘텐츠의 재료로 삼고 있다. 한류문화콘텐츠는 현재 우리 사회상을 반영하는 중요한 증거적 가치를 지닌 기록물로써 보존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과 함께,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한류문화콘텐츠들에 대한 현황분석을 통하여 체계적인 기록관리를 위한 AtoM 기반의 기록관리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최근 한류문화콘텐츠 관리는 K-Pop, K-Food, K-Movie 등 특정분야의 단체가 개별적으로 진행하고 있지만 해당 분야 내에서도 관련 기관간의 연계가 부족하여 정보 축적이 제한적이며 콘텐츠에 대한 재생산 또한 미흡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류문화콘텐츠의 기록화를 위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Access to Memory(AtoM)를 사용하였다. AtoM은 기록의 수집에서부터 축적 및 분류, 기술, 목록관리, 검색 등의 기록관리 기능을 지원하며 무료로 사용가능한 웹 기반의 소프트웨어라는 장점이 있다. 한류문화콘텐츠의 기록화를 위해 기록관리시스템의 기능요건에 따라 AtoM을 적용하였다. 특히 K-Food와 관련된 기록콘텐츠를 모델로 선정하여 관련 기록물을 수집 및 분류하였으며 ISAD(G) 표준에 맞추어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AtoM을 이용한 한류문화콘텐츠 기록화에 대한 기대효과와 한계 및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