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dia Pole Design Applying the Playfulness of Scribbling

낙서의 유희성을 반영한 '미디어 폴' 디자인

  • 김희은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 류한영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Received : 2015.07.16
  • Accepted : 2015.10.06
  • Published : 2015.10.31

Abstract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entertaining aspects of Media Pole that is located in Gangnam U-Street and proposes design that considers the aspects of the form, experience, contents and communication of scribbling. Functioning as public digital media, Media Pole provides various convenient services related to the area.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user's behavior upon Media Pole, photo related services, which can be categorized as entertainment, were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ly used services among various services. Taking user's behaviors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entertaining aspects of Media Pole and suggests design that applies the playfulness of scribbling. The playful characteristics of scribbling were applied to the Media Pole's user interface, interaction, application and interlocking functions. As a result, users are expected to increase as Media Pole becomes more playful than before. Since scribbling is an act of intrinsic human's desire, it will attract users to participate more voluntarily.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Media Pole, but to any public digital media devices.

본 연구는 서울 강남역 유비쿼터스 거리에 설치된 미디어 폴의 발전 방안으로 유희적인 기능을 강조하여 낙서의 형태적, 경험적, 내용적, 커뮤니케이션적 측면을 고려한 디자인을 제안한다. 미디어 폴은 디지털 미디어 공공시설물로서 주변 장소와 관련된 다양한 편의 정보를 제공한다. 미디어 폴의 이용 행태를 분석한 연구에 의하면 미디어 폴이 제공하는 여러 기능 중 사진 촬영 및 포토 메일 등의 유희적인 기능을 사용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용자의 행태를 고려하여 유희적인 도구로서의 미디어 폴을 강조하고 낙서의 유희성을 반영한 새로운 디자인을 제안하려 한다. 문헌 연구를 통해 고찰한 낙서의 유희적 특성을 미디어 폴의 인터페이스 형태, 인터랙션 경험, 애플리케이션 내용 및 커뮤니케이션 기능적 측면에 각각 대입한 디자인 결과물을 제안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미디어 폴의 이용이 이전보다 재밌어진다면 이용자 수도 더 증가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낙서는 인간 본연의 유희적 추구이자 행동이기 때문에 이를 디지털 기기에 반영한다면, 보다 자연스러운 이용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미디어 폴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디지털 기기에서도 확대·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