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침해사고 대응체계 비교에 관한 연구 - 사이버보안 법규, 대응기관, 대응절차를 중심으로

  • 김희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인터넷침해대응본부 침해사고대응단 침해대응기획팀)
  • 발행 : 2015.04.30

초록

국경을 넘나드는 사이버공격에 대한 효과적인 사이버보안 정책 수립을 위한 국가간 협력이 절실하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맞닿아 있는 중국 및 일본과 우리나라의 침해사고 대응 관련 법, 대응기관, 대응절차 등 국가별 침해사고 대응체계를 비교하고 효과적인 침해사고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사이버보안 관련 법의 체계성에 중국 및 일본의 사이버보안 관련 정책의 유연성을 접합하고, 사이버보안 컨트롤타워를 성문화함으로써 인터넷 침해사고 대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정보원.미래창조과학부.방송통신위원회.안전 행정부, 국가정보보호백서, 2014.
  2. 권현준, "사이버 보안법제 선진화 방안 연구", 방송통신정책연구, 11-진흥-라-02, 2011.
  3. 막세건, "중국정보안전입법모델연구", 경희법학. 42권 3호, 2007.
  4. 민경식, "일본의 최근 정보보호정책 현황 및 시사점", 정보보호 Issue Report, 2008.6.
  5. 백승흠(2009), "일본의 정보통신망 정부규제 및 자율규제 현황", 경원법학 제2권 제2호, 2009.
  6. 이광형, "중국의 사이버범죄수사", 해외연수검사 논문, 2007.
  7. 이연수 외 3인, "주요국의 사이버안전관련 법.조 직체계 비교 및 발전방안 연구", 국가정보연구 제 1권 2호, 2009.
  8. 이재호 외 3인 "중국의 정부체계 및 동향분석", 한국행정연구원, 2011,
  9. 정연수, "중국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및 사고처리 메카니즘", 한중인터넷협력센터, 2014.
  10. KISA, "일본 정부의 사이버보안 강화 전략 분석", Internet & Security Bimonthly 3호, 2014.
  11. CNCERT/CC 홈페이지 http://www.cert.org.cn/
  12. JPCERT/CC 홈페이지 https://www.jpcert.o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