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우리는 정말 새로운 것에 열려 있는가?: 초등영재들이 인식하는 반창의성 편향

Are We Really Open to Creativity?: Elementary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n Anti-Creativity Bias

  • 투고 : 2015.03.30
  • 심사 : 2015.05.04
  • 발행 : 2015.04.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초등학교 영재아동들의 인식을 개념도방법을 활용하여 밝히고, 도출된 요인들에 대하여 공감하고 있는 정도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2명의 초등학교 영재아동들이 반창의성 편향에 대해 집단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종합, 분류하는 활동을 통해 55개 최종 진술문을 확정하였다. 이들 55개의 진술문에 대한 비유사성 평정 자료를 사용하여 다차원척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2차원 개념도 제작에 적합한 stress 값 .30이 도출되었다. 또한 132명의 초등학교 영재아동들을 대상으로 각 진술문의 공감 정도를 likert 6점 척도로 표시하게 한 후,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초등학교 영재아동들의 공감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도에 나타난 진술문의 좌표 값을 기초로 하여 위계적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초등학교 영재아동들의 인식의 범주는 '창의성에 대한 모순적 태도', '창의성에 대한 낮은 평가', '정해진 규칙과 생각에 대한 강요', '새로운 것에 대한 반감'의 4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영재아동들은 '정해진 규칙과 생각에 대한 강요'(M=4.16), '새로운 것에 대한 반감'(M=3.68), '창의성에 대한 모순적 태도'(M=3.55), '창의성에 대한 낮은 평가'(M=3.30) 범주 순으로 공감하였으며 전체 평균은 3.68의 공감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반창의성 편향에 대한 초등학교 영재아동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앞으로의 창의성교육의 방향을 제시함에 있어 초등학교 영재아동들이 생각하는 다양한 관련 요인들을 범주별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와 관련된 현장에서의 함의가 심도 깊게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elementary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n bias against creativity utilizing concept mapping approach. Twelve elementary gifted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group brainstorming and produced 55 final statements. Based on these statements, the multi-dimensional scale and hierarchial cluster analysis using dissimilarity matrix were performed. Average stress value was .30 which is appropriate for a two-dimensional concept mapping study.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likert 6 points scale was carried out targeting 132 elementary gifted students to analyze the degree of sympathy on their anti-creativity bias percep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four categories were concluded dividing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n bias against creativity from the hierarchial cluster analysis with X-Y coordinate matrix, these were 'Contradictory attitudes to creativity', 'Low evaluation for creativity', 'Forced to predetermined rules and ideas', and 'Aversion to new things'. Second, elementary gifted students were sympathetic to the order 'Forced to predetermined rules and ideas'(M=4.16), 'Aversion to new things'(M=3.68), 'Contradictory attitudes to creativity'(M=3.55) and 'Low evaluation for creativity'(M=3.30).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alyze and categorize various relevant factors related to elementary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n bias against creativity. Implications of the study related to the present and future creative education were discussed in depth.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261호).
  2. 김순남, 이병환, 황향숙 (2003). 창의성 교육 실태 분석과 교육 정책적 과제. 중등교육연구, 51(2), 41-68.
  3. 성은현, 한순미, 하주현, 이정규, 류형선, 한윤영, 박병기 (2008). 한국적 창의성과 창의적 환경에 대한 대학생들의 암묵적 이론. 한국심리학회, 14(1), 367-390.
  4. 요로다케시 (2003). 바보의 벽. 서울: 재인.
  5. 이정모 (2011). 한국교육 미래 비전: 창의성 개념의 21세기적 재구성. 서울: 학지사.
  6. 이춘근 (2007). 이런 상사가 창의성을 죽인다. LG경제연구원 보고서.
  7. 임선하 (2007). 창의성 교육: 반성적 접근. 창조교육논총, 9, 55-86.
  8. 전경원 (2000). 창의성 저해 요인 조사연구: 유아교육과 여학생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5(1), 163-180.
  9. 조연순, 정지은(2012).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창의성의 범주 및 수준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2(2), 333-352. https://doi.org/10.9722/JGTE.2012.22.2.333
  10. 차석빈, 김홍범, 오홍철, 윤지환, 김우곤 (2008). 사례를 통해 본 다변량 분석의 이해. 서울: 백산출판사.
  11. 최석민 (2006). 초등학교 창의성 교육 접근 방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초등교육연구, 19(2), 1-21.
  12. 최윤정, 김계현 (2007). 고학력 기혼여성의 진로단절 위기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연구, 8(3), 1031-1045.
  13. 최한나, 김삼화, 김창대 (2008). 청소년이 지각한 또래관계 역량. 상담학연구, 9(1), 181-197.
  14. 최한나, 김창대 (2008). 좋은 슈퍼비전 관계에 대한 슈퍼바이저의 인식 차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1-21.
  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a).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I 2010-2.
  1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b). 창의성 교육 국제비교 연구. 연구보고 CRO 2010-3.
  1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c). 창의성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10-3.
  1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중등학교 교육 개선 연구. 연구보고 RRC 2011-2.
  19. 한기순(2005). 창의성 영역문제의 탐색 및 재접근. 영재교육연구, 15(2), 1-34.
  20. 한기순, 김홍희 (2011).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의 개념도. 영재와 영재교육, 10(1), 49-72.
  21. 한기순, 유경훈 (2013). 우리는 진정 창의성을 원하는가?: 반창의성 편향에 관한 담론. 창의력교육연구 13(3), 53-70.
  22. Cropley, A. (2009). Teachers' antipathy to creative students: some implications for teacher training. Baltic Journal of Psychology, 10, 86-94.
  23. Evans, J (1991). Creativity thinking in the decision and management science. OH: South Western Publishing Co.
  24. Gol, A. R., & Cook, S. W. (2004). Exploring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cop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 155-171. https://doi.org/10.1521/jscp.23.2.155.31021
  25. Johnsen, J. A., Biegel, D. E., & Shafran, R. (2000). Concept mapping in mental heath uses and adaptations.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3, 67-75. https://doi.org/10.1016/S0149-7189(99)00038-5
  26. Kane, M., & Trochim, W. M. K.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
  27. Kegan, R., & Lahey, L. L. (2001). The Real Reason People Won't Change. Harvard Business Review, Nov, 1-10.
  28. Mueller, J. S., Concalo, J., & Kamder, D. (2011). Recognizing creative leadership: Can creative idea expression negatively relate to perceptions of leadership potential?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7, 494-498. https://doi.org/10.1016/j.jesp.2010.11.010
  29. Mueller, J. S., Melwani, S., & Goncalo, J. (2012). The bias against creativity: why people desire yet reject creative ideas. Psychological Science, 21(1), 13-17.
  30. Paulson, B. L., & Worth, M. (2002). Counseling for suicide: Client percept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0, 86-93. https://doi.org/10.1002/j.1556-6678.2002.tb00170.x
  31.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Phi Delta Kappa, 60, 180-184.
  32. Runco, M. A. (1992) Creative thinking in the fifth grade. In J. F. Wakefield (Ed), Creative thinking: Problem-solving skills and the arts orientation (pp. 13-26). Norwood, NJ: Ablex.
  33. Runco, M. A. (2010). Creativity has no dark side. In D. H. Cropley, A. J. Cropley, J, C. Kaufman & M. A. Runco (Eds.), The dark side of creativity.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Runco, M. A., & Pritzker, S. T. (Eds). (1999). Encyclopedia of creativity Vol. 1. San Diego, CA: Academic Press.
  35. Staw, B. M. (1995). Why no one really wants creativity. In C. Ford, & D. A. Gioia (Eds.), Creative action in organizations: Ivory tower visions and real world voices.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 Inc.
  36.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5). Defying the crowd: Cultivating creativity in a culture of conformity. NY: Free Press.
  37. Trochim, W. M. K. (1989).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2, 1-16. https://doi.org/10.1016/0149-7189(89)90016-5
  38. Westby, E. L., & Dawson, V. L. (1995). Creativity: Asset or burden in the classroom? Creativity Research Journal, 8(1), 1-10.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0801_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