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 타이트 스커트의 스트라이프 디자인 변화에 따른 신체 이미지

Body Image of Stripe Design Variations in Semi-tight Skirt

  • Lim, Hea-Lyo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Uh, Mi-Ky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투고 : 2015.02.12
  • 심사 : 2015.04.23
  • 발행 : 2015.06.29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body image when the stripe direction and width change of semi-tight skirt. The semi-tight skirt pattern was made using the standard size of a women in their 20s. 12 semi-tight skirt models combining 6 kinds of stripe directions and 2 kinds of stripe widths were made using CLO 3D virtual clothing system. The data was evaluated by 126 fashion design maj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accordance with the body image factor analysis of semi-tight skirt, three image factors were identified; whole body optical illusion, calf optical illusion and hip optical illusion. Among these factors, the whole body optical illusion fact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 body image depending on the stripe direction and width change of semi-tight skirt mostly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body image depending on the stripe direction and width change of semi-tight skirt, the whole body, calf and hip optical illusion factors showed the significance. The interaction of body image had independent influence on all factors of stripe direction and width. In particular, the interaction of stripe direction and width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hole body optical illus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순희, 서미아. (2007). 의복의 입체구성. 서울: 교문사.
  2. 권민정, 어미경, 서미아. (2012). 하이 웨이스트 스커트의 허리선높이와 스커트 길이 변화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차이. 복식문화연구, 20(3), 309-318.
  3. 김선영. (2010). 현대패션에 나타난 스트라이프 패턴의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8(3), 397-407.
  4. 김주은. (2001). 의상 디자인의 줄무늬(stripe pattern) 연구: 20세기 이후 서양 여성 패션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문주영. (2010). 채도 콘트라스트 배색과 스트라이프 무늬 변화에 따른 의복착용자의 이미지 연구. 복식, 60(1), 28-42.
  6. 문주영, 강경자. (2008). 명도 콘트라스트 배색에 따른 스트라이프 의복 착용자의 이미지 연구. 복식문화연구, 16(6), 992-1007.
  7. 문주영, 정수진. (2010). 콘트라스트 배색 스트라이프 의복이미지의 조형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1), 115-125.
  8. 박우미. (2013). 가상착의 시스템을 이용한 팬츠스타일과 기하학 무늬의 특성에 따른 시각적 효과.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5(4), 504-513.
  9. 설화정, 박희숙, 홍경희. (2003). 수직 스트라이프 패턴의 디자인 요소와 감성과의 관계연구. 충남생활과학연구지, 16(1), 1-15.
  10. 송경자, 김재숙. (2005). 신체이미지에 따른 성형요구, 자아개념, 의복행동-다중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한국의류학회지, 29(3), 391-402.
  11. 신주동, 김희숙, 최종명. (2008). 현대패션에 표현된 스트라이프패턴의 이미지 분석. 생활과학연구논총, 12(2), 215-223.
  12. 이경희, 윤정혜, 박정순. (1990). 원피스 드레스의 줄무늬 시각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4), 314-323.
  13. 이영진, 정혜진, 박희주, 이주현, 조길수. (2002). 블록 스트라이프 패턴의 디자인 요소가 감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감성과학회지, 5(3), 21-28.
  14. 이정순, 한경희. (2007). 여대생의 체형인식이 신체이미지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11(2), 145-154.
  15. 장은영. (1987). 패턴이 의복에 미치는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체크 패턴 변화에 따른 의복의 시각적 이미지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최수경. (2014). 줄무늬 셔츠의 시각적 감성에 대한 소비자 평가-세퍼레이션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2), 71-80.
  17. Michel Pastoureau. (2002). 악마의 무늬 스트라이프 (강주현역). 서울: 이마고.
  18. 鈴木良子, 飯塜弘子. (1985). 柄の視覚效果にっぃての研究(2)-ヮンピ- における縱縞,横縞-. 台白百合短期大學纪要, 13, 2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