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감 올림픽을 위한 밀리미터파 5G 이동통신 기술

  • Published : 2015.01.30

Abstract

모바일 UHD, 초다시점 영상, 증강/가상현실 등 실감형 서비스를 통한 체험하고 즐기는 실감 올림픽을 위해 기가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모바일 인프라가 토대가 되어야 한다. 최근 이동통신은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5G 이동통신 연구, 개발 및 표준화 경쟁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5G 이동통신은 1000 배의 전송속도 향상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에게 1 Gbps 전송속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핵심 성능지표로 고려하고 있다. 1000 배의 전송속도 향상을 위한 기술적 해결 방향으로 추가 주파수 확보, 주파수 효율 개선, 네트워크 밀집도 증대가 고려되고 있으며, 세 가지 해결 방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기술로 밀리미터파 액세스 기술이 5G 이동통신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밀리미터파 5G 이동통신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큰 축으로 밀리미터파 액세스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에 대해 기술하고, 밀리미터파 5G 이동통신 동향에 대해 소개한다. 5G 이동통신 시스템 측면에서 밀리미터파 5G 이동통신 기술의 도입 시나리오에 대해 예측해보고, 밀리미터파 5G 이동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RF 기술, 물리계층 기술, 상위계층 기술에 대해 기술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현우, 해외 5G 연구동향 및 국제협력 현황, TTA 저널 152호, 2014.
  2. 오상진, 5G 이동통신 산업 발전을 위한 정부 정책, TTA 저널 152호, 2014.
  3. 김경미, 제20차 ITU-R WP 5D 회의, TTA 저널 156호, 2014.
  4. 3GPP SA1#68 S1-144361, Overview of potential 5G study item, Vodafone, 2014.
  5. 고영조, 방승찬, 5G 무선 기술, TTA 저널 152호, 2014.
  6. N. Bhushan et al., "Network Densification: The Dominant Theme for Wireless Evolution into 5G,"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2, no. 2, February 2014.
  7. 김경미, 5G 주파수 논의 동향, TTA 저널 152호, 2014.
  8. F. Boccardi et al., "Five Disruptive Technology Directions for 5G,"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2, no. 2, February 2014.
  9. W. Roh et al., "Millimeter-Wave Beamforming as an Enabling Technology for 5G Cellular Communications: Theoretical Feasibility and Prototype Result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2, no. 2, February 2014.
  10. R. Baldemair et al., "Ultra-Dense Networks in Millimeter-Wave Frequencie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3, no. 1, January 2015.
  11. C. Dehos et al., "Millimeter-Wave Access and Backhauling: The Solution to the Exponential Data Traffic Increase in 5G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2, no. 9, September 2015.
  12. 3GPP RAN#66 RP-142196, New SID Proposal: Study on further evolution beyond LTE-Advanced using frequency spectrum above 6 GHz, Samsung, 2014.
  13. B. Bertenyi (3GPP TSG SA Chairman), 3GPP system standards heading into the 5G era, Eurescom message, 2014.
  14. 3GPP RAN2#85 R2-140089, Mobility performance in real network, Qualcomm Incorporated, 2014.
  15. 3GPP TR 36.842, Study on Small Cell enhancements for E-UTRA and E-UTRAN; Higher layer aspects
  16. 3GPP RAN#66 RP-141963, New WI: Improved Mobility for Synchronous LTE Networks, Nokia Networks, 2014.
  17. 3GPP RAN#66 RP-142036, New SI proposal: Study on Mobility Enhancements for LTE, Ericsson, 2014.
  18. 3GPP RAN#66 RP-142005, New SI: Partial control of Cell Management for UEs in LTE, Nokia Networks, 2014.
  19. 3GPP TS 36.30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and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Overall description; Stage 2
  20. 3GPP RAN#65 RP-141664, Study on Licensed- Assisted Access using LTE, Ericsson, Qualcomm, Huawei, Alcatel-Lucent, 2014.
  21. 3GPP RAN#66 RP-142286, New WI proposal: LTE Carrier Aggregation Enhancement Beyond 5 Carriers, Nokia Corporation, NTT DoCoMo Inc., Nokia Networks,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