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이민숙, 김나영,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4권, 제1호, pp.161-176, 2007.
- 통계청, 고령자통계, 2013.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행위 통계, 2014.
- 김정엽, 이재모, "저소득 여성노인과 일반여성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39권, pp.399-420, 2008.
- 이영자, 김태현, "단독가구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감: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19권, 제3호, pp.79-93, 1999.
- 이평숙, 이영미, 임지영, 황라일, 박은영, "노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제34권, 제3호, pp.477-484, 2004.
- 장미희, 김윤희,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33-42, 2005.
- D. Garrigan and E. Murphy, "Social Support among Elderly in Two Community Program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Vol.21, No.2, pp.31-38, 1995. https://doi.org/10.3928/0098-9134-19950201-08
- 박미진, "여성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강점과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97-211, 2007.
- 김미령, "노인의 스트레스와 성인자녀의 지지가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2권, pp.1-27, 2012.
- 조성자, 김병석, "노년기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 우울, 자기효능감, 마인풀니스 (mindfulness)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4권, 제1호, pp.49-71, 2014.
- 민성길, 최신 정신의학, 제5판, 일조각, 2012.
- 권중돈, 김동기, 김기수, 박수진, "노인의 가족응집력, 스트레스, 우울 및 문제음주의 구조적 관계 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3호, pp.3-25, 2012.
- 전해숙, "스트레스, 심리사회적 자원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소노인과 고령노인 간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분석",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제5권, 제2호, pp.35-53, 2012.
- 김현순, 김병석, "자아존중감이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27권, 제1호, pp.23-37, 2007.
- 이인정,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위기사건,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4호, pp.34-62, 2011.
- P. A. Thoits,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Processes: Where Are We? What Nex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6, No.5, pp.53-79, 1995.
- T. C. Antonucci and R. Fuhrer, "Social Relations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a Sample of Community-Dwelling French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Vol.12, No.1, pp.189-195, 1997. https://doi.org/10.1037/0882-7974.12.1.189
- 한경혜, "농촌 단독가구 노인의 자녀관계", 한국노년학, 제16권, 제2호, pp.21-38, 1996.
- 박경숙, 고령화 사회 이미 진행된 미래, 의암출판, 2003.
- 이신영, 김은정, "독거노인의 친구.이웃과의 사회적 지원과 우울성향", 노인복지연구, 제56호, pp.137-164, 2012.
- 강희숙, 김근조, "일부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과의 관련성", 대한보건연구, 제26권, 제4호, pp.451-459, 2000.
- 김병하, 남철현, "유배우 노인의 우울정도와 관련요인 분석연구", 한국노년학, 제19권, 제2호, pp.173-192, 1999.
- 이민아, "결혼상태에 따른 우울도와 성차", 한국사회학, 제44집, 제4호, pp.32-62, 2010.
- 이은령, 강지혁, 정재필, "노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90-30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90
- M. Silverstein and V. Bengtson, "Does Intergenerational Social Support Influe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er Parents? the Contingencies of Declining Health and Widowhood," Social Science Medicine, Vol.38, No.7, pp.943-957, 1994. https://doi.org/10.1016/0277-9536(94)90427-8
- 조은희, 전진호, 이상원, "경로분석을 통한 만성질환 노인 환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델 설정", 노인병, 제4권, 제3호, pp.148-163, 2000.
- S. Cohen and T. A. Willi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No.2, pp.310-357, 1985.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 F. H. Norris and S. A. Murrell, "Older Adult Family Stress and Adaptation before and after Bereavement," Journal of Gerontology, Vol.42, No.6, pp.606-612, 1987. https://doi.org/10.1093/geronj/42.6.606
- W. M. Ensel and N. Lin, "The Life Stress Paradigm and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2, No.Dec, pp.321-341, 1991. https://doi.org/10.2307/2137101
- J. A. Yesavage, T. L. Brink, T. L. Rose, O. Lum, V. Huang, M. Adey, and V. O. Leir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17, No.1, pp.37-49, 1983. https://doi.org/10.1016/0022-3956(82)90033-4
- G. D. Zimet, N. W. Dahlem, and G. K. Farley, "The Multidiment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2, pp.30-41, 1988.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 신준섭, 이영분, "사회적 지지가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37권, pp.247-248, 1999.
-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 김애정, 김옥수, 백성희, 장종화, 김정희,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건강 행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8권, 제3호, pp.391-399, 2012.
- 서인균, 이연실,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환경이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8권, 제2호, pp.371-399, 2014.
- 이홍자, 김춘미, "노인의 구강건강 영향지수가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3권, 제3호, pp.338-346, 2012.
- 이인정, "재가복지서비스 이용노인의 우울 수준과 우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일반노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4호, pp.31-65, 2012.
- 정미경, 이규미,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낙관주의 및 적응유연성의 경로분석", 한국노년학, 제30권, 제2호, pp.629-642, 2010.
- 문명자, "재가노인의 우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4호, pp.542-550, 2010. https://doi.org/10.4040/jkan.2010.40.4.542
- 조유향, "농촌노인의 고독감, 우울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한국농촌의학회지, 제27권, 제1호, pp.87-98, 2002.
- 노병일, 모선희, "사회적 지지의 수준과 차원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 노년학, 제27권, 제1호, pp.53-69, 2007.
- 허준수, 유수현,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3권, pp.7-22, 2002.
- 하근영, 홍달아기, "노인의 교우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노년학연구, 제8권, pp.75-90, 1999.
- 이현경, 손민성, 최만규, "우리나라 노인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672-68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672
- L. I. Pearlin, "The Sociological Study of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0, No.Sep, pp.241-256, 1989. https://doi.org/10.2307/2136956
- G. W. Brown, B. Andrews, T. Harris, Z. Adler, and L. Bridg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Medicine, Vol.16, pp.813-831, 1986. https://doi.org/10.1017/S0033291700011831
Cited by
-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Rural Community Living Homes vol.27, pp.S, 2016, https://doi.org/10.7856/kjcls.2016.27.S.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