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alistic Re-lighting System with Occlusion

사실적인 리라이팅 시스템 연구

  • Received : 2015.02.01
  • Accepted : 2015.03.04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Lighting work on 3D animation requires much time and labor. For example, about 60 lighting artists were needed for the theater animation named Postman Pat the Movie globally distributed in 2014. These artists were needed to rapidly respond with shot feedback. However, complicated shots required much of rendering time.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correspond the work in the middle of test rendering. After 2005, re-lighting techniques were developed to cope with such situations. However, it was not feasible to create shadow with current re-lighting technique which doesn't make natural or realistic result. This paper has realized relighting system that could realistic quality while maintaining fast calculation by applying rasterized ambient occlusion to the relighting calculation of each of the lights. This relighting system has been used for the Hollywood animation titled "Postman Pat: The Movie" globally released in 2014. It is anticipated for this method to be more widely used for animation manufacture that other manufacturers can reduce expenses and create well completed output in the future.

3D 애니메이션에서의 라이팅 작업은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걸리는 일이다. 예를 들어서 2014년에 글로벌하게 배급된 극장용 애니메이션 Postman Pat The Movie에서는 60여명의 라이팅 아티스트가 필요했으며, 이 아티스트들은 샷의 피드백에 빠르게 대응해야 하지만, 복잡한 샷들은 많은 렌더시간을 필요로 해서 테스트 렌더링을 하며 작업 대응을 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2005년 이후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고자 리라이팅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하지만, 기존의 리라이팅 방식으로는 그림자를 얻어낼 수가 없기 때문에 사실적이거나 자연스러운 결과물을 얻어낼수가 없어서 국내 애니메이션 제작에서 거의 사용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Rasterization된 앰비언트 어클루전을 각 라이트 별로 리라이팅 계산에 접목시켜 빠른 계산을 유지하면서도 사실적인 퀄러티를 얻어낼 수 있는 리라이팅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리라이팅 시스템은 2014년 글로벌하게 개봉된 헐리우드 애니메이션인 Postman Pat : The Movie에 채택되어 성공적인 제작을 해내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이후 애니메이션 제작에 이 방법이 더 많이 활용되어 다른 제작사에서도 제작비의 절감과 함께 좀 더 완성도 있는 결과물을 제작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순현외 2명(2007). 영상기반 실시간 재조명 렌더링 시스템, 한국HCI학회논문지, 2권 1호, 25-31.
  2. 박재욱,김윤정(2014), Ambient Occlusion을 이용한 Global Illumination 대체기법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6권 p.501.
  3. J. M. Ragan-Kelley(2004), Practical interactive lighting design for RenderMan scenes, Undergraduate thesis, Stanford University, p.4.
  4. B. T. Phong(1975.6), Illumination for computer generated pictures, Communications of the ACM SIGGRAPH, 311-317
  5. F. Pellacini, K. Vvidimce, A. Lefohn, A. Mohr, M.Leone, and J. Warren, "Lpics: a hybrid 31 hardware-accelerated relighting engine for computer cinematography", in Proceedings of ACM SIGGRAPH 2005, pp. 464-470,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