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겨울왕국의 엘사 캐릭터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의 변화 -퀴어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of Gender Identity Found in the Character of Elsa on Frozen -Focus on Queer Theory-

  • 이준수 (극동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과 만화애니메이션전공)
  • 투고 : 2015.01.29
  • 심사 : 2015.03.04
  • 발행 : 2015.03.31

초록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여성 캐릭터가 등장하는 작품은 1937년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로부터 시작된다. 그 후 2010년 '라푼젤'에 이르기까지 11명의 여성 캐릭터가 등장하였다. 여성 캐릭터들은 순종적, 가정적이고 왕자와의 결혼으로 인한 자신의 정체성을 들어내는 것에서 부터 시작하여 독립적, 개척적이고 때로는 나라를 구하고 남성을 이끄는 여전사의 캐릭터로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여전히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결말은 제도적, 전통적 담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남성 주인공을 만난 여성캐릭터는 키스와 결혼으로 결말 되거나 남성을 위한 희생의 미덕을 보여주는 것 이었다. 하지만 '겨울왕국'의 엘사는 지금까지의 디즈니에서 보여준 남성주의적, 가부장중심의 이성애적 이분법 담론의 캐릭터와는 구분되는 주체적 정체성을 가진 캐릭터이다. 본 고에서는 섹스와 젠더의 구분을 해체하고 젠더 개념을 수행적이며 유형화된 행동에 의해 구성된 것이고 남/녀, 이성애/동성애의 이분법적 자체를 해체한다는 개념인 퀴어이론을 통하여 엘사 케릭터의 젠더 정체성의 변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퀴어의 수행성은 레즈비언-게이 섹슈얼리티와 이성애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것이며 이러한 패러디적 전략을 통해 지배담론에 대해 저항하는 정치성을 갖게 된다고 말할 수 있다. 엘사가 보여주는 수행성은 자매애와 이성애의 경계에 있음이다. 이성애적 관점에서 분석을 한다면 엘사의 정체성은 누이와의 친밀감이 단순히 자매의 사랑으로만 이해해야 한다. 반면, 여성들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면 엘사와 안나의 관계는 동성애의 관점으로 인식된다. 레즈비언 연속체의 개념으로 본다면 정체성의 제약을 가진 디즈니 여성 캐릭터의 동성애적 사랑은 여성들 간의 유대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성간의 사랑보다는 쉽게 성적 욕망이 은폐될 수 있다. 엘사는 퀴어적 정체성의 억제와 발현을 통하여 수행적 정체성으로 발전해나가고 있다. 그녀가 가지고 있는 마법은 초기의 금기시되고 두려움의 존재에서 레즈비언적 팔루스의 존재가 되고 이성애적 가부장 제도에서의 특권에 대항하는 의미화된 팔루스로 비추어지면서 아렌델의 세계관에서 인정받게 됨을 볼 수 있다. 엘사는 디즈니가 선보이는 새로운 여성 캐릭터이며 이 캐릭터를 퀴어이론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캐릭터 분석 방법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The work appeared a featured female character in the Disney animation film begins with 'Snow White' released in 1937. After then, the 11 female characters appeared included 'Tangled' in 2010. Female characters reveal their identity due to obedient, family-oriented and marriage with prince and then gradually develop to heroine who leads to man, and is independent, pioneering, and sometimes saves the nation. Nevertheless, the ending of the Disney animation was still not escape the institutional, traditional discourse. Female characters are followed to meet the featured actor kissing and marriage, or was to show the virtues of sacrifice for the actor. However, Elsa in 'Frozen' is the character with an independent identity compared with the patriarchy, male chauvinism and heterosexual dichotomous discourse given so far in Disney. In this study, it is to explain the change of gender identity in the character of Elsa through Queer theory that deconstructs the distinction between sex and gender, and is constituted by the actions typed and performed the gender concept, and is dismantling the dichotomy itself such as male/female, heterosexual/homosexual. The performative of Queer make the boundaries between lesbian-gay, sexuality and heterosexual ambiguous. It can be said that the performative has political nature resisted to the dominant discourse through these parodiable strategy. The performative showed of Elsa is in the boundaries between the sisterhood and the heterosexual. When analyzed in a heterosexual perspective Elsa's identity is to be understood as simply just love the intimacy of a sister and a sister. On the other hand, if you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lsa and Anna is recognized as the point of view of homosexuality. Because if you look at the concept of lesbian continuum, the homosexual love in the female characters of Disney seems like a bond between women, easier than heterosexual love can be hidden sexual desires. Elsa has developed into a performative identity through the expression of performative and the inhibitory of queer identity. And then the her sorcery that was initially contraindicated and the presence of a fear became to the 'lesbian phallus'. The sorcery that can be seen the signifying phallus against to the privileges of heterosexual patriarchy is recognized in the world of Arendal. Elsa is a new women featuring Disney characters. as this character is analysised by Queer theory, this study seeks to expand the area of the various character analysis method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소영 외, 시네-페미니즘, 대중영화 꼼꼼히 읽기 : 갈라진 피부 : <인어공주>에 나타난 여성의 힘과 육체적 훼손, 수잔 화이트 지음, 오영숙 역, 과학과 사상, 1995
  2. 데이비드 코에닉, 애니메이션의 천재 디즈니의 비밀, 현대미디어, 1999
  3. 재키 울슐라거, 안데르센 평전, 전선화 옮김, 미래M&B, 2006
  4. 미셀 푸코, 성의 역사 1, 지식의 의지, 이규현 역, 나남신서, 2004
  5. E.D. 베이커, 프린세스 엠마 (The Frog Princess), 최제니 역, 개암나무, 2007
  6. 조현준,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 : 퀴어 정치학과 A. 카터의 서커스의 밤, 한국학술정보, 2007
  7. 김지혜, 레즈비언/페미니스트 관점에서 본 서구 레즈비언이론의 발전 과정과 역사적 의의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1998
  8. 서성옥, 쥬디스 버틀러의 퀴어이론과 토니 모리슨의 "술라"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9. 양세혁, <겨울왕국> 캐릭터에 나타난 두려움과 왜곡된 욕망의 정신역동,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 37호, 2014
  10. 조윤호, 겨울왕국, 디즈니의 보수주의가 깨졌다, 컬처투데이,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622, 2014
  11. 듀나, 겨울왕국' 아무도 예상 못한 흥행돌풍의 의미, 엔터미디어, http://www.entermedia.co.kr/news/news_view.html?idx=3099, 2014
  12. 맹수진, 뻔한 스토리 제조기 디즈니가 '겨울왕국'에서 변했다, 컬처투데이,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585, 2014
  13. 최한욱, 겨울왕국'에서 해법 찾은 디즈니와 픽사의 융합, 영화로 세상 읽기 vol.15, http://blog.naver.com/silchun615/50188124189, 2014
  14. Allan Berube and Jeffrey Escoffier, Queer/Nation, in Out/look : National Lesbian and Gay, Quarterly11, 1991
  15. Eric Charles, Why Frozen Is Obviously About Lesbians, Fixing Psychology, 2014/03/12
  16. Eric Diaz, 8 Ways Frozen Is Disney's Gayest Animated Film Yet, Books Cartoons, Daily lists, Movies, toplessrobot.com, 2014/01/30
  17. James Eli Adams , "Victorian Sexuality" A Companion to Victorian Literature and Culture, Herbert F. Tucker(eds.), Wiley Blackwell publishers, 1999
  18. Judith Butler, Bodies That Matter: On the Discursive Limits of "Sex", New York:Routledge, 1993
  19. Judith Butler, 'Gender Trouble :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Routledge, 1999
  20. Kierran Petersen, Disney's Frozen and the 'gay agenda', BBC News, 2014/03/27
  21. Valerie Anne, What gay girls can get out of "Frozen", Afterellen.com, 2014/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