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Practice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Programs for the Mathematical Creativity

수학적 창의성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제

  • Received : 2015.02.05
  • Accepted : 2015.03.17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In this study, we will develope and apply the education program for mathematical creativity, with the open-ended problems about development fig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elements of the mathematical creativity in consideration of the real class, and is to design a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this. To do this, from 2006 through 2014, by targeting 205 gifted students in the sixth grade until eighth grade of Busan, Gyeongnam, Gyeongbuk were carried out in class. Also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the process and the results of its application. As a result, students' outcomes and behavioral reactions brought about a qualitative development of the program, and students became aware of the participants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ese results suggest the aim of developing a education program for mathematical creativity,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this education program.

본 연구에서는 전개도에 관한 open-ended 문제를 소재로 수학적 창의성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수업실제를 고려하여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를 범주화하고, 이를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6년과 2009년부터 2014년에 걸쳐 부산, 경남, 경북 소재의 영재교육대상자 205명 - 초등 6학년에서 중학교 2학년까지 - 에게 수업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대상 학생, 교육 환경에 따라 수정 보완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과정과 적용 결과를 살펴본다. 학생들의 산출물과 행동반응은 프로그램의 질적 발전을 가져왔으며, 학생들은 프로그램 개발의 참여자라는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물들은 본 교육 프로그램의 효용성과 함께 수학적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지향점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8). 중학교 교육과정해설 III 수학,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http://ncic.re.kr.
  3. 교육부(1992). 제6차 수학과 교육과정, http://ncic.re.kr.
  4. 교육부(1997).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 김수환.박성택.신준식.이대현.이의원.이종 영.임문규.정은실(2010). 초등학교 수학과 교재연구, 서울: 동명사.
  6. 송상헌(1998). 수학에 관한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이종희.김선희(1998). 수학 교수 학습에서 의사 소통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제8권 제2호, pp.691-708.
  8. 정영우(2007a). 韓國の英才教育機關の入試に關する硏究 (I) 日韓數學敎育セミナー2007, 日本鳴門: 鳴門敎育大學, pp.13-42.
  9. 정영우(2007b). 韓國の英才教育機關の入試に關す る硏究 (II) 日韓數學敎育セミナー2007, 日本鳴門: 鳴門敎育大學, pp.73-97.
  10. 정영우.김부윤(2014). 전개도에 관한 교수학적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제16권 제2호, pp.285-301.
  11. 최병훈.방정숙(2012).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관 한 연구 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제22권 제 1호, pp.197-215. https://doi.org/10.9722/JGTE.2012.22.1.197
  12. 하수현.이관호.성창근(2013). 창의성의 본질적 관점에서 본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국내 연구 동향,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제15권 제3호, pp.551-568.
  13. 황혜정.나귀수.최승현.박경미.임재훈.서동엽(2012).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14. Ervynck, G. (1991). Mathematical Creativity, In Tall, D.(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pp.42-53.
  15. Haylock, D. W.(1987). A Framework for Assess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childre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Vol. 18, pp.59-74. https://doi.org/10.1007/BF00367914
  16. 恩田彰(1971). 講座 創造性の教育2 創造性の 開發と評價, 東京: 明治図書.
  17. 鄭英佑(2002). 数学教育における創造性に関する研 究ー中学2年生の数学的創造性と人格特性ー, 鳴門敎育大學大學院 修士學位論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