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ti-Obesity Activity of Euptelea Pleiosperma Ethanol Extract

Euptelea pleiosperma 에탄올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 Park, Jung Ae (Blue-Bio Industry Regional Innovation Center, Dong-Eui University) ;
  • Jin, Kyong-Suk (Blue-Bio Industry Regional Innovation Center, Dong-Eui University) ;
  • Kwon, Hyun Ju (Blue-Bio Industry Regional Innovation Center, Dong-Eui University) ;
  • Kim, Byung Woo (Blue-Bio Industry Regional Innovation Center, Dong-Eui University)
  • 박정애 (동의대학교 블루바이오소재개발 및 실용화 지원센터) ;
  • 진경숙 (동의대학교 블루바이오소재개발 및 실용화 지원센터) ;
  • 권현주 (동의대학교 블루바이오소재개발 및 실용화 지원센터) ;
  • 김병우 (동의대학교 블루바이오소재개발 및 실용화 지원센터)
  • Received : 2015.09.01
  • Accepted : 2015.12.01
  • Published : 2015.12.28

Abstract

Previously, Euptelea pleiosperma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useful sources containing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for the first time in our research group. In this study, anti-obesity effect of E. pleiosperma ethanol extract (EPEE) was evaluated by using a pancreatic lipase enzyme inhibition assay and a cell culture model system. EPEE suppressed effectively pancreatic lipase enzyme activity dose dependently. Furthermore, EPEE significantly suppressed adipocyte differentiation, lipid accumulation, triglyceride contents, and triggered lipolysis activity on 3T3-L1 preadipocytes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out cytotoxicity. Anti-adipogenic effect of EPEE was modulated by cytidine-cytidine-adenosine-adenosine-thymidine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alpha}(C/EBP{\alpha})$, $C/EBP{\beta}$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PPAR{\gamma})$ gene and protein expression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the important new insight that E. pleiosperma possesses anti-obesity activities such as pancreatic lipase inhibition, anti-adipogenic, and lipolysis effects. It might be utilized as promising sources in the fields of nutraceuticals. The identification of active compounds that confer anti-obesity activity of EPEE might be needed.

선행연구에서 Euptelea pleiosperma가 항산화능과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유용한 소재임을 처음으로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E. pleiosperma 에탄올 추출물(EPEE)의 항비만 활성을 췌장 리파아제 효소 활성 억제능 및 세포실험모델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EPEE는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3T3-L1 preadipocyte에서 지방세포 분화, 세포 내 지방 축적, TG 함량 등을 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을 유의적으로 분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EPEE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은 핵심 작용 인자인 $C/EBP{\alpha}$, $C/EBP{\beta}$, 그리고 $PPAR{\gamm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조절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E. pleiosperma가 보유한 췌장 lipase 활성 저해능,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지방세포 내 지방 분해능을 통한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서 론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는 비만은 장시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 섭취할 경우 발생하는 에너지 불균형이 그 원인이다[8, 10]. 에너지 불균형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으로는 과도한 식이 섭취, 신체 활동 부족, 잘못된 생활습관, 내분비기능 이상, 유전적인 소인 등이 있으며 adipokine의 생산과 분비를 통하여 adipogenesis 과정으로 분화가 일어나 비정상적인 지방세포의 크기 증가(hypertrophy) 및 수의 증가(hyperplasia)로 지방축적이 일어나게 된다[2, 3].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비만 인구는 1980년 이래 두 배 이상 증가하여 2014년에는 18세 이상 성인 약 19억명(39%) 이상이 과체중이며 이 중 6억명(13%)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20]. 우리나라 또한 서구식 식습관과 생활 방식이 증가하면서 전체 인구의 25% 가량이 비만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 성인의 과체중과 비만율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20세 이상 남성의 과체중 비율은 36%에 이른다.

비만은 심미적인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관절염, 심혈관계 질환, 암 등 수많은 질환의 직·간접적 원인이 되므로 그 예방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비만의 치료를 위해 운동, 식이 요법, 약물 투여, 외과적 수술 등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중 식이 요법은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가장 근본적이며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4, 6, 16].

시판되고 있는 대표적인 비만 치료제로는 sibutramine과 orlistat이 대표적이며 이 중 orlistat은 췌장 및 위장에서 분비되는 지방 분해 효소인 lip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섭취한 지방 중 약 30%의 흡수를 차단 함으로서 체중의 감소에 도움을 준다[13]. 이에 최근 유용 비만 소재 개발의 많은 연구가 천연 유래 lipase 활성 저해제의 개발에 집중되고 있다[12, 21].

또한 비만은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및 지방생성 과정에 의하여 지방세포의 세포 내 중성지방(triglyceride, TG)의 축적으로 발생하므로 이러한 지방생성 기전을 조절하는 것은 비만 억제의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1, 5].

지방세포의 분화는 세포 형태 및 유전자 발현의 다양한 변화가 동반되는 복합적인 과정이다. 지방세포는 mesenchymal precursor에서 지방전구세포를 거쳐 지방세포로 분화되며, 분화 과정 동안 형태 및 생화학적 변화를 통해 체내 지방을 축적하면서 크기가 증가되는데 이러한 과정에는 지방조직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조절부위에 작용하는 전사인자들이 관여한다[2, 19].

대표적인 세포 실험계인 3T3-L1 지방전구세포에 insulin, dexamethasone(DEX), 3-isobutyl-1-methylxanthine(IBMX)과 같은 자극을 유발하면 cytidine-cytidine-adenosine-adenosine-thymidine(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의 종류인 C/EBPβ, C/EBPδ로부터 초기 분화가 시작되며 이는 상호 작용 또는 단독으로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PPARγ) 및 C/EBPα의 발현을 조절하게 된다. C/EPBα는 PPARγ와 분화 초기에 발현이 유도되어 분화 후기가 되면 다양한 adipogenic 유전자들의 발현을 유도하여, 분화된 지방 세포에서 발현 양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낸다[15, 18].

한편 전 세계적으로 비만 치료제의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시판되고 있는 비만 치료제들의 부작용과 내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사용 기준이 강화되고 있어 우수한 효능과 함께 안전성을 보유한 성분의 개발이 필요하다[12, 13]. 이에 특히 천연 유래 소재로부터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항비만 활성 보유 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21].

Euptelea pleiosperma는 Eupteleaceae과에 속하는 낙엽수이며 영춘목으로도 불린다. 동아시아 지역, 주로 중국, 인도, 미얀마 및 히말라야 일대에 분포한다. 잎은 식용 가능하며, 꽃과 가지의 껍질은 약용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구체적인 효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자들은 선행 연구를 통해 E. pleiosperma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에 대해서 처음으로 밝힌 바 있다[11].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연에서 유래한 생리활성 보유 신소재 개발의 일환으로 E. pleiosperma 95% 에탄올 추출물(EPEE)이 보유한 항비만 활성을 췌장 리파아제 효소 활성 저해, 지방세포 분화 억제, 지방세포 분화 관련 전사 인자 발현 조절, 지방 세포 분해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재료 및 방법

E. pleiosperma 에탄올 추출물의 준비

본 연구에서 사용한 E. pleiosperma 95% 에탄올 추출물(EPEE)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해외생물소재허브센터에서 구입(분양번호 FBM123-004)하였다. 건조 및 분쇄한 시료를 95%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45℃에서 3일간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고 추출이 끝난 시료를 filter로 여과하여 고형물을 없앤 후 감압농축(N-1000SW, EYELA, Japan) 및 동결 건조(FDU2100, EYELA, Japan)한 시료를 구입하여 사용 전까지 4℃에 보관하였다.

EPEE의 췌장 lipase 효소 활성 저해능 분석

EPEE의 항비만 활성을 세포 실험계에서 분석하기에 앞서 EPEE의 lipase 효소 활성 저해능 보유 유무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먼저 1.5ml tube에 0.25M Tris(pH 7.7), 250mM CaCl2, 5mM 4-nitrophenyl dodecanoate(PNPD)로 구성된 효소액과 기질을 넣고 잘 섞어준 후 37℃에서 5분간 예열하고, 0.25 M Tris(pH 7.7)에 녹인 lipase와 시료를 넣어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20% sodium dodecyl sulfate(SDS)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액을 4℃, 15,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상층액을 96-well tissue culture plate에 분주하고 multi-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1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10분간 반응시킨 시료의 흡광도로부터 0분 반응 시료의 흡광도를 뺀 값을 control 대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측정값은 3회 반복 실험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세포 배양 및 시료 처리

EPEE의 항비만 활성을 세포실험계에서 분석하기 위해 항비만 활성 분석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cell model system인 3T3-L1 지방전구세포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VA, USA)으로부터 구입하여 10% fetal bovine serum(FBS) 및 penicillin/streptomycin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0.5 μM IBMX, 1 μM DEX, 10 μg/ml 의 insulin(이하 MDI)를 처리하여 adipogenesis를 유도하고 EPEE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및 세포 내 지방 축적 저해능, 지방세포 분화 관련 인자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조절 등의 항비만 활성을 분석하였다[17].

세포 독성 유무 분석

항비만 활성 분석 수행 전 시료가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과 동시에 세포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시료의 처리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water soluble tetrazolium(WST) assay를 수행하였다. 1 × 105 cell을 24-well tissue culture plate에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부착시킨 후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시료 처리 후 WST 시약이 든 배지로 교체하여 한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multi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3회 반복 실험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Oil Red O staining을 통한 지방세포 분화 및 TG 생성 저해능 분석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는 상기의 MDI를 처리하여 유도하였다. 12-well tissue culture plate에 well 당 2 × 105개의 세포를 분주하고 2일 후 10% FBS가 든 배지로 교체하였다. 2일 경과 후 MDI가 든 배지로 교체하면서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2일 간격으로 총 4회 insulin과 시료를 처리하였다. 마지막 시료를 처리하고 2일 경과 후 위상차 현미경을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정도 및 시료에 의한 분화 억제 정도를 200배 배율로 관찰하여 촬영한 후,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및 TG 생성 저해능을 Oil Red O stain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및 시료 처리가 완료된 세포를 1× phosphate buffered saline(PBS)로 씻어 준 다음 10% formalin으로 고정하고 Oil Red O staining solution을 처리한 후 30분간 염색하였다. 염색 완료 후 100% isopropanol을 사용하여 염색된 지방을 추출하고 multi-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통한 지방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 발현 조절능 분석

EPEE가 지방세포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6-well tissue culture plate에 3 × 105개의 세포를 분주하고 지방 생성 억제능 분석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를 처리한 후 RNA를 분리하여 각 유전자의 발현을 RT-PCR로 분석하였다. 먼저 시료 처리가 완료된 배양 세포의 total RNA를 TRIzol (Invitrogen, CA, USA)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NanoVue plus spectrophotometer(GE healthcare, WI, USA)를 이용하여 정량하고 SuperScriptTM First-Strand Synthesis System (Invitrogen)을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한 후 PCR을 수행하였다. 유전자 발현 분석의 internal control로는 housekeeping gene인 glyceraldehydes-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한 대상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Table 1에 제시한 바와 같다.

Table 1.Primer sequences used for RT-PCR.

Western blot hybridization을 통한 지방세포 분화 관련 단백질 발현 조절능 분석

상기의 RT-PCR 분석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한 후 시료 처리가 끝난 세포에서 단백질을 분리하여 지방 생성 관련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Western blot hybridization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시료 처리가 끝난 배양 세포에서 cell lysate를 추출하여 Bradford assay로 단백질 농도를 결정한 후 50 μg의 단백질을 10%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로 전기영동하고 nitrocellulose membrane에 blotting한 후 대상 단백질의 일차 항체와 hybridization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C/EBPα와 C/EBPβ의 일차 항체는 Cell Signaling Technology(Beverly, MA, USA)로 부터 구입하였고, PPARγ 및 actin의 일차 항체와 horse radish peroxidase가 부착된 anti-goat, anti-rabbit, anti-mouse등의 이차 항체는 Santa Cruz Biotechnology Inc.(Santa Cruz, CA, 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Membrane 수세 후 이차 항체로 한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chemiluminescence detection system(FluoChem® FC2, AlphaInnotech, USA)을 이용하여 각 단백질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지방세포내 중성지방 제거량 측정(lipolysis assay)

EPEE가 보유한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제거능(lipolysis activity)은 아래와 같이 분석하였다. Confluence 상태의 3T3-L1 지방전구세포를 2일간 배양한 다음 MDI를 첨가한 DMEM 배지로 2일간 배양하고 10 μg/ml이 든 DMEM 배지에 4일간 추가 배양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방세포 분화가 완료된 3T3-L1 cell에서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48시간 후 중성지방 분해에 의해 배지에 방출된 glycerol 양을 glycerol-3-phosphateoxidase(GPO)-TRINDER kit(Sigma,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3회 반복 실험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데이터 처리 및 통계 분석

모든 실험 결과는 최소 3회 이상의 반복 실험을 통하여 얻은 데이터를 평균(mean)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나타내었고, 필요 시 대표적인 그림이나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각 데이터의 통계 분석은 SPSS 20.0 software를 이용한 unpaired Student’s t-test를 통해 p 값이 0.05 미만 (p < 0.05)인 경우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과 및 고찰

EPEE의 췌장 lipase 효소 활성 억제능 분석

지방 분해 효소인 lipase는 주로 췌장에서 분비되어 TG를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 최근 비만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해법 중 천연에서 찾은 췌장 lipase inhibitor의 중요성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췌장 lipase의 활성 저해능은 시료가 보유한 항비만 활성을 예측하기에 매우 유용한 시험법이다[7]. 이에 본 연구에서는 EPEE의 췌장 lipase 효소 활성 억제능 보유 유무 및 그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농도별 처리에 따른 lipase의 활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0.05, 0.1, 0.15, 0.2, 0.25, 0.5, 1 mg/ml의 시료 처리에 의해 시료 비처리 대조군(100%) 대비 각각 63.5, 46.3, 38.9, 33.9, 32.0, 26.4, 12.8%의 lipase 효소 활성을 보였으며 효소 활성을 50% 저해하는 농도(inhibitory concentration, IC50)는 0.089 mg/ml로 나타났다(Fig. 1). 이를 통해 EPEE가 췌장 lipase의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EPEE가 lipase inhibitor로 작용하여 항비만 활성을 보유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Fig. 1.Lipase enzyme inhibition activity of EPEE. The effects of EPEE on pancreatic lipase activity. Values are represented as the mean ± SD (n = 3) *p < 0.01 vs vehicle control (0).

EPEE가 3T3-L1 preadipocyte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세포 실험계에서 지방 생성 억제능의 평가를 위해 먼저 EPEE가 3T3-L1 preadipocyte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WST assa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1−100 μg/ml의 시료처리에서 농도 증가에 따른 약한 세포 증식 억제를 보였으나 세포 독성은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Fig. 2A).

Fig. 2.Effect of EPEE on 3T3-L1 cell proliferation (A), morphological change and lipid accumulation (B), and TG contents (C). (A) Cells were treated with the indicated concentrations of EPEE for 72 h and viability was determined by WST assay. Data are expressed as the mean ± SD of triplicate experiments. (B) Differentiation of confluent 3T3-L1 preadipocytes was initiated with MDI treatment and maintained in DMEM containing 5% FBS in presence and absence of EPEE. After day 8, cells were fixed and stained with Oil red O. The morphological change and lipid droplet accumulation were visualized using by inverted microscopy (×200). (C) TG contents were determined by Oil red O staining after treatment of EPEE. TG contents were measured at 500 nm by multi-plate reader. Data are expressed as the mean ± SD of triplicate experiments. *, #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undifferentiated cell control (Con) and untreated cell control (0), respectively (p < 0.05).

EPEE가 MDI로 유도한 3T3-L1 preadipocyte의 adipogenesis에 미치는 영향

EPEE의 항비만 활성 보유 유무를 알아보기 위해 MDI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preadipocyte의 adipogenesis에 미치는 시료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Fig. 2B와 2C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지방 세포 분화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50 μg/ml 이상의 처리 농도에서 강한 억제 활성을 보여 Oil Red O staining 결과 염색된 지방의 양이 급격히 감소되었다. 지방 생성의 억제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염색된 지방을 추출하여 TG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시료 처리 범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됨을 보여 50 μg/ml의 처리에 의한 억제능이 80.3%로 나타났다.

EPEE가 adipogenesis 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adipogenesis의 과정에는 초기, 중기, 후기의 각 단계별로 중요한 분화 조절인자가 관여한다. MDI 처리 초기에는 가장 먼저 c-fos, c-jun, c-myc 등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며 이와 함께 C/EBPβ와 δ의 발현 또한 유도된다. C/EBPβ와 δ는 지방전구세포가 MDI 등의 분화 인자에 노출되었을 때 분화 초기에 가장 먼저 작용하는 전사 인자로서 MDI의 경우 C/EBPβ는 DEX에, C/EBPδ는 IBMX에 의해 활성이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C/EBPβ와 δ의 활성은 분화 중기 및 후기에서 작용하는 PPARγ와 C/EBPα의 발현 매개인자로서, 활성화된 PPARγ와 C/EBPα는 단독 혹은 상호작용을 통해 지방세포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adipocyte specific gene expression)을 유도하여 지방 세포 분화 및 지방 형성을 완성한다[1, 9, 14]. 따라서 이와 같은 지방 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들의 발현 조절 유무는 소재가 보유한 지방 생성 억제능 및 그 작용 기전을 판단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EPEE가 보유한 지방 생성 억제능의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EPEE가 adipogenesis에 관여하는 주요 핵심 조절자인 C/EBPα, C/EBPβ, 그리고 PPARγ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Fig. 3의 결과에서와 같이 MDI 처리에 의해 지방세포 분화가 일어난 대조군에서는 세 인자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시료의 처리에 의해 농도의존적인 감소를 보여 50 μg/ml의 처리에서는 모든 인자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미분화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의 낮은 발현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EPEE가 보유한 지방세포분화 억제능이 adipogenesis에 관여하는 핵심 인자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저해를 통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3.Effect of EPEE on adipogenesis related gene and protein expressions. (A) Modulat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by EPEE was evaluated by RT-PCR. GAPDH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B) Modulation of adipogenesis related protein expressions by EPEE was evalu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Actin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The data are representative of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EPEE의 중성지방 제거능(lipolysis activity)

EPEE가 지방세포분화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생성된 지방의 제거에도 효과적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제거능을 lipolysis activity assay를 통해 분석하였다. MDI로 분화시킨 지방세포에 EPEE를 후 처리한 결과 세포 내 축적되어 있던 중성지방의 분해를 통해 배지로 방출된 글리세롤의 양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4A). 배지를 제거한 후 Oil Red O staining을 수행하고 현미경 관찰(Fig. 4B) 및 세포 내에 남아있는 TG의 양을 정량 분석(Fig. 4C)한 결과 배지에 방출된 글리세롤 양의 증가와 비례적으로 세포 내에 남아있는 TG의 양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EPEE가 지방세포 내에 축적되어 있는 중성지방을 농도의존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 4.Stimulatory effect of EPEE on glycerol release in MDI-induced 3T3-L1 adipocytes (A), morphological change and lipid accumulation (B), and TG contents (C). (A) Amount of released glycerol in culture media was measured after EPEE treatment. Glycerol contents were measured 540 nm by multi-plate reader. (B) Differentiation of confluent 3T3-L1 preadipocytes was initiated with MDI treatment and maintained in DMEM containing 5% FBS. After day 8, MDI-induced adipocytes were treated with EPEE for 48 h. Cells were fixed and stained with Oil red O. The morphological change and lipid droplet accumulation was visualized using by inverted microscopy (×200). (C) TG contents were determined by Oil red O staining after treatment of EPEE. TG contents were measured at 500 nm by multiplate reader. Data are expressed as the mean ± SD of triplicate experiments. *, #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undifferentiated cell control (Con) and untreated cell control (0), respectively (p < 0.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EPEE가 췌장 lipase 효소활성 억제능,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제거능을 통한 항비만 활성을 보유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E. pleiosperma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Ali AT, Hochfeld WE, Myburgh R, Pepper MS. 2013. Adipocyte and adipogenesis. Eur. J. Cell Biol. 92: 229-236. https://doi.org/10.1016/j.ejcb.2013.06.001
  2. Avram MM, Avram AS, James WD. 2007. Subcutaneous fat in normal and diseased states 3. Adipogenesis: from stem cell to fat cell. J. Am. Acad. Dermatol. 56: 472-492. https://doi.org/10.1016/j.jaad.2006.06.022
  3. Berry R, Jeffery E, Rodeheffer MS. 2014. Weighing in on adipocyte precursors. Cell Metab. 19: 8-20. https://doi.org/10.1016/j.cmet.2013.10.003
  4. Bray GA. 2007. Medical therapy for obesity-current status and future hopes. Med. Clin. North Am. 91: 1225-1253. https://doi.org/10.1016/j.mcna.2007.06.013
  5. Cao Z, Umek RM, McKnight SL. 1991. Regulated expression of three C/EBP isoforms during adipose conversion of 3T3-L1 cells. Genes Dev. 5: 1538-1552. https://doi.org/10.1101/gad.5.9.1538
  6. Chadt A, Scherneck S, Joost HG, Al-Hasani H. 2000. Molecular links between Obesity and Diabetes: "Diabesity".
  7. de la Garza AL, Milagro FI, Boque N, Campion J, Martinez JA. 2011. Natural inhibitors of pancreatic lipase as new players in obesity treatment. Planta Med. 77: 773-785. https://doi.org/10.1055/s-0030-1270924
  8. Fock KM, Khoo J. 2013. Diet and exercise in management of obesity and overweight. J. Gastroenterol. Hepatol. 28(Suppl. 4): 59-63. https://doi.org/10.1111/jgh.12407
  9. Guo L, Li X, Tang QQ. 2015.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 central role for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C/EBP) beta. J. Biol. Chem. 290: 755-761. https://doi.org/10.1074/jbc.R114.619957
  10. Haslam D. 2007. Obesity: a medical history. Obes. Rev. 8(Suppl. 1): 31-36. https://doi.org/10.1111/j.1467-789X.2007.00314.x
  11. Jin KS, Park JA, Lee JY, Kang JS, Kwon HJ, Kim BW. 2014.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uptelea pleiosperma ethanol extract.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2: 170-176. https://doi.org/10.4014/kjmb.1403.03002
  12. Joo JK, Lee KS. 2014. Pharmacotherapy for obesity. J. Menopausal Med. 20: 90-96. https://doi.org/10.6118/jmm.2014.20.3.90
  13. Kakkar AK, Dahiya N. 2015. Drug treatment of obesity: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Eur. J. Int. Med. 26: 89-94. https://doi.org/10.1016/j.ejim.2015.01.005
  14. Lane MD, Tang QQ, Jiang MS. 1999. Role of the 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s (C/EBPs)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Biochem. Biophys. Res. Commun. 266: 677-683. https://doi.org/10.1006/bbrc.1999.1885
  15. Liu F, Kim J, Li Y, Liu X, Li J, Chen X. 2001. An extract of Lagerstroemia speciosa L. has insulin-like glucose uptake-stimulatory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inhibitory activities in 3T3-L1 cells. J. Nutr. 131: 2242-2247. https://doi.org/10.1093/jn/131.9.2242
  16. Manulu MS, Sutanegara IN. 2006. Pathogenesis and pharmacologic treatment of obesity: the role of energy regulatory mechanism. Acta Med. Indones. 38: 42-50.
  17. Ntambi JM, Young-Cheul K. 2000.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J. Nutr. 130: 3122S-3126S. https://doi.org/10.1093/jn/130.12.3122S
  18. Rosen ED, Hsu CH, Wang X, Sakai S, Freeman MW, Gonzalez FJ, et al. 2002. C/EBPalpha induces adipogenesis through PPARgamma: a unified pathway. Genes Dev. 16: 22-26. https://doi.org/10.1101/gad.948702
  19. Sorisky A. 1999. From preadipocyte to adipocyte: differentiation-directed signals of insulin from the cell surface to the nucleus. Crit. Rev. Clin. Lab. Sci. 36: 1-34. https://doi.org/10.1080/10408369991239169
  2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Obesity and overweight. Fact sheet $N^{\circ}311$. Available at: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1/en/. Accessed 28 August 2015.
  21. Zhang WL, Zhu L, Jiang JG. 2014. Active ingredients from natural botanicals in the treatment of obesity. Obes. Rev. 15: 957-967. https://doi.org/10.1111/obr.12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