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esigning of STEAM Learning/Teaching Program for Robot

로봇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제안

  • Park, HyunJu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Chosun University) ;
  • Baek, Yoon Su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Received : 2015.04.17
  • Accepted : 2015.10.21
  • Published : 2015.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EAM learning/teaching program that relates robots and to develop and redesign STEAM teaching/learning program with a robot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Learning with a robo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best candidates for STEAM education. This article mainly concerns a robot that can be helpful to improve students' interests in learning science and mathematics in schools. As the results of the STEAM learning/teaching program analyzing, th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s contained more contents of liberal arts and fine arts, and the program for secondary schools contained more contents of science, technology, and math. In the middle school program, context for learning, class activities of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touch, evaluation, and job and career information were evenly implemented. In the elementary and high school program, there were few information about robotics career. We extracted all robot utilizable subjects and units from school curriculums, and redesigned contents which can be applicable to regular classes for school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nclude that 'learning with a robot' can encourage students' interests in STEM area.

이 연구에서는 로봇 연관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고, 초 중등학교를 위한 로봇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내용을 제안하였다.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예술과 인문사회 분야의 내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과학, 기술, 수학의 순서로 포함되어 있었다. 학교급별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내용 융통합이 유사한 패턴이 나타났다. 중학교의 프로그램은 STEAM 교육에서 추구하는 상황 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 평가, 진로 등의 요소들을 균등한 비율로 포함하고,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의 프로그램은 진로와의 연계 내용이 적게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TEAM 교육의 지향과 활동요소를 총체적으로 고려한 로봇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학교급별 내용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0). 제2차 과학기술인력 육성 지원 기본 계획. 교육부 2011년 1월 19일 보도자료.
  2. 김현정 (2011).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도입된 최신 과학 내용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6), 827-835.
  3. 김현정, 홍훈기, 홍지혜 (2011). 고등학생의 나노 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대한화학회지, 55(1), 104-111. https://doi.org/10.5012/jkcs.2011.55.1.104
  4. 문대영(2008).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공학교육연구, 11(2), 90-101.
  5.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백윤수 (2012). STEAM 교육의 구성 요소와 수업설계를 위한 준거 틀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 533-557.
  6. 박현주, 백윤수, 변수용, 심재호, 손연아, 한혜숙, 김은진, 서영진 (2014). STEAM 프로그램 효과성 제고 및 현장 활용도 향상 기본연구 최종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7.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8. 송미영 (2014). PISA 2012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 제 25회 KICE 교육과정, 평가 정책 포럼. 2014년 4월 3일.
  9. 이범홍, 김주훈, 이양락, 홍미영, 이미경, 이창훈, 신일용, 심재호, 곽영순, 전영석, 김동영, 장재현 (2005).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RRC 2005-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 박순경, 전영근 (2004). 과학과 교육 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RRC 2004-1-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11. 조현영, 손민호 (2014). 일상적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실천적 지식의 사용에 관한 연구: 학교 학습에의 시사점 탐색. 교육문화연구, 20(1), 5-27.
  12.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센터 (2007). 자연계열과 공학계열 입학자 수 추이, http://cesi.kedi.re.kr/index.jsp에서 검색
  13.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학교 교육력 제고를 위한 평가제도 국제 비교 연구, 한국 국가 배경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OECD 학력평가 PISA.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ISA 2009 보도자료(12월 7일)
  15. Doppelt, Y., Schunn, C. D., Silk, E., Mehalik, M., Reynolds, B., & Ward, E. (2009). Evaluating the impact of a facilitated learning community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eacher practice and student achievement.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7(3), 339-354. https://doi.org/10.1080/02635140903166026
  16. For Inspiration and Recogni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5). Impact: FIRST LEGO League growth. Retrieved from http://www.usfirst.org/communitiy/resourcecenter.aspx?id=950.
  17. Frazee, B., & Rudnitski, R. A. (1995). Integrated teaching methods. Albany: Delmar Publisher.
  18. Glasgow, N. (1997). New curriculum for new times: A guide to student-centered, problem-based learning. ERIC ED403241
  19. ITEEA EbD (2014). Engineering by design curriculum, Retrieved from http://www.iteea.org/EbD/ebd.htm.
  20. Jacob, E. (1999). Cooperative learning in context: An educational innovation in everyday classrooms. Albany, NY: SUNY Press.
  21. Messick, S. (1995). Validity of psychological assessment: Validation of inferences from persons' responses and performances as scientific inquiry into score meaning. American Psychologist, 50, 741-749. https://doi.org/10.1037/0003-066X.50.9.741
  22.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2010). Standards for K-12 engineering education? Washington, D. 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3. Papert, S. (1980). Mindstorms: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Brighton, UK: Harvester Press.
  24. Royal Academy of Engineering(2003). Enhancing STEM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Outputs of the Engineering Engagement Programme. Retrieved from www.raeng.org.uk/publications/other/book-final-web.
  25.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The Technology Teacher, 68(4), 20-26.
  26. Wilson, A. (1993). The promise of situated cognition. In S. B. Merriam (Ed.), An update on adult learning theory (pp. 71-79).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7. Wolfinger, D. & Stockard, J. (1997). Elementary methods: An integrated curriculum. White Plains, NY: Long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