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대상학교 초기 청소년의 심리적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Mental Health between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of Early Adolescents in Schools with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 김종운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
  • 장인영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 투고 : 2015.01.12
  • 심사 : 2015.02.05
  • 발행 : 2015.03.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하 교복우사업) 대상학교 초기 청소년의 심리적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교복우사업 대상 초등학교 4개교에 재학중인 5~6학년의 남 여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초기 청소년들의 심리적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 세 가지는 자아탄력성, 심리적 가정환경, 정신건강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심리적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 모두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빈곤가정 청소년의 환경변인인 가정환경은 개인변인인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에 관계되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므로 가족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연구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천적 함의측면에서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복지정책이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실질적인 정책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mental health between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of early adolescents in schools with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EWPP). For this purpo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ego-resilience and metal health of 310 male and female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 in four elementary schools on EWPP located in Busan area. As the result of analysis, three major variables affecting adaptation to school life turned out to be in the order of ego-resilience, home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and both ego-resilience and mental health were confirmed to play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environ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Since home environment as a psychological variable of adolescents from poor families have an effect on adaptation to school in connection with ego-resilience and mental health as personal variable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e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strengthen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ego-resilience, and mental health. In addition,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for alienated class can be practical policy alternative to mitigate social polariz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복지우선지역지원사업 학교장 연수자료" 교육과학기술부, 2011.
  2. 오경애, 또래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 이주형, MMTIC을 통해 평가한 아동의 성격유형과 우울 및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4. 안영복, 적응 및 부적응 행동의 특성과 관계변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5. S. M. Nettles, O. C. Margaret, and J. O. Patricia, "School Adjustment in the early grades: Toward an integrated model of neighborhood parental, and child process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78, No.1, pp.3-32, 2008. https://doi.org/10.3102/0034654307309917
  6. 이숙영, 가정환경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7. 전효정, 이귀옥, "유아기 부모와의 애착경험이 청소년기 또래애착과 스트레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9권, 제2호, pp.191-210, 2002.
  8. 류경희, "창원시 중.고등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련 변인",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95-213, 2004.
  9. 최희옥, 문재우, 박재산, "가족내 갈등과 학교 부적응간의 관련성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제17권, pp.79-106, 2005.
  10. J. Gosselin, Facteurs individuels, relationnels et systemiques lies a l'adaptation des membres de familles recomposee avec des adolescents, Unpublishe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ontreal, 2007.
  11. M. S. Shaniece, Contextual and dispositional influences on low-incom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w Orleans, 2007.
  12. 정영순, 신지혜, "결혼 이민자가정 아동과 일반 아동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분석", 한국아동복지학, 제28권, pp.171-194, 2009.
  13. A. Gregory and R. K. Sara, "Positive Mother-child Interactions in Kindergarten: Predictors of School Success in High School," School Psychology Review, Vol.37, No.4, pp.499-515, 2008.
  14. 민동일, 청소년의 가정건강성, 학교생활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5. 강명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6. 김종운, 김지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내현적 자기애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1041-105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1041
  17. M. L. Keeley and A. W. Brenda, "Family influences on treatment refusal in school-linked mental health services," Journal of Child Family Study, Vol.17, pp.109-126, 2008. https://doi.org/10.1007/s10826-007-9141-6
  18. 손현규, 중학생이 지각한 가정폭력 수준과 불안, 학교적응과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9. M. Joussemet, K. Rrchard, L. Natasha, and L. Rene'e,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maternal autonomy support to children's adjustment and achievement in school," Journal of Personality, Vol.73, No.5, pp.1215-1236, 2005. https://doi.org/10.1111/j.1467-6494.2005.00347.x
  20. 조은정, "청소년의 자아효능감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부모, 교사, 친구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6호, pp.299-322, 2008.
  21. L. D. Dubois, S. K. Eitel, and R. D. Felner,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and relationships school adjust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6, No.2, pp.405-414, 1994. https://doi.org/10.2307/353108
  22. 정원식, 가정환경 진단검사 실시요강, 서울: 코리안테스팅 센타, 1989.
  23. 남인숙, 초등학생의 심리적 가정환경과 정서지능과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4. 김용래, 정의적 특성과 그 선행변인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교육연구논총, 1993.
  25. J. Block and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e: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pp.349-361,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26. 신선인, "한국판 일반정신건강척도(KGHQ)개발에 관한 연구 I", 한국사회복지학, 제46권, pp.210-235, 2001.
  27.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it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8. A. Milevsky, S. Melissa, N. Sarah and K. Danielle,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styles in adolescents: Associations with self-esteem, depression and life-satisfaction," Journal of Child Family Study, Vol.16, pp.39-47, 2007. https://doi.org/10.1007/s10826-006-9066-5
  29. A. Gregory and R. K. Sara, "Positive Mother-child Interactions in Kindergarten: Predictors of School Success in High School," School Psychology Review, Vol.37, No.4, pp.499-515, 2008.
  30. A. E. McLaughlin, The Impact of early educational child care and the affectiv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on early adolescent mental health, Unpublished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2007.
  31. 권수정, 이현주, "가족기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188-19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188
  32. 정숙형, 청소년의 가정환경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3. 강유진, 남자 청소년의 아버지 역할 수행평가와 아버지와의 의사소통 정도 및 미래 아버지 역할 기대,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4. 유성경, 홍세희, 최보윤,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애착, 실존의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1호, pp.393-408, 2004.
  35. 최지영, 박경,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및 자아 탄력성과 친구관계 질의 관계", 심리치료, 제7권, 제2호, pp.127-144, 2007.
  36. 임성우, 가영희,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응집력 과 사회적응력 및 불안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제5권, 제1호, pp.29-39, 2007.
  37. 이시연,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가족관계,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 비행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759-77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