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Determinants of Intention to Watch Movie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cused on Role of Presentation Format of Movie Poster

계획행동 이론을 적용한 영화관람 의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영화포스터 표현형식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5.11.14
  • Accepted : 2015.12.24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is study is related to determination of the intention to watch a movie, which is affected by various emotional, environmental, and behavioral factors. In case of personal factors, personal taste formed on the basis of previously experienced movie related information affects selection of movies, while environmental factors are affected mostly by residental community experience, cognitive attitude, subjective norms, as well as the view of values. In this study, the determinants on decision to watch movie have been analyzed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 determination, based on either personal factors or environmental factors, of consuming movie products stars from reasonable information collecting and that movie poster has been the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on movie products since the inception of the movie industry, this study analyzed tastes of movie watchers and many variables of movie poster format on determination of intention to watch movie. The results from this empirical study indicate that movie poster is effective means of low cost marketing inducing movie watching in terms of consuming minimum time and space with high speed of delivery while satisfying primary interest on the movie product. It is suggested movie posters should be prepared to make appeal to each generation of target consumers and be put on the market as a product of artistic work.

본 연구에서는 영화관람의 의도는 사람들이 계획행동 이론에 따라 다양한 정서적, 환경적, 행동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기존 연구를 실증분석 하고자 하였다. 즉, 개인적 요인의 경우 과거에 경험했던 영화정보취득을 바탕으로 형성된 개인의 취향이 영화 선택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이와는 다르게 환경적 요인은 주로 거주 집단의 경험, 인지적 태도, 주관적 규범 그리고 가치관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계획행동 이론을 적용하여 영화관람 의도의 결정요인을 실증분석하고 연구결과를 영화마케팅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인적 요인이건, 환경적 요인이건, 영화 소비활동은 1차적으로 합리적인 정보습득의 과정에서부터 시작되며, 영화 탄생 이후 지금까지 영화 소비층의 1차적 정보습득의 주된 경로는 대부분 영화포스터에 의존하였다는 점을 반영하여 영화포스터의 표현형식의 조절변수 역할을 분석한 것이 본 연구만의 차별적인 부분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영화수용자를 대상으로 관람의도 취향을 분석해 보았고 이에 영화포스터의 표현형식으로 특징을 분류하여 영화관람 의도에 대한 조절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 장의 포스터가 영화관람을 유인하는 효과대비 저렴한 비용의 마케팅 효과를 낼 수 있고 온 오프라인 정보 홍수시대에 영화포스터는 최소 시간, 최소 공간을 활용하여 매우 빠르게 보급될 수 있어 상품의 1차적 관심을 충족시키는 중요 수단이라는 중요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영화포스터의 나아가야할 방향은 세대별로 감성을 자극하는 영화포스터를 제작하여 적극적으로 마케팅에 활용하고 영화포스터를 하나의 작품으로 만들어 판매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측면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