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초기기업의 외부자금조달에 대한 기업소유구조 간 비교연구

The the Effect on External Financing of Ownership Type in Case of Early-Stage Firms

  • 강원 (세종대학교 경영대학)
  • Kang, Won (School of Business, Sejong University)
  • 투고 : 2015.11.23
  • 심사 : 2015.12.16
  • 발행 : 2015.12.31

초록

본 논문은 성공한 창업초기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집단 소속기업에 비해 독립기업이 과연 외부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데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외부자금조달의 용이성은 투자-현금흐름 배수로 측정하였고, 이 배수가 과거실적에 의해 영향 받는 부분과 미래 영업에 대한 기대에 의해 영향 받는 부분을 모두 통제한 뒤, 기업집단 소속 여부가 투자-현금흐름 배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현금흐름이 양수일 때는 오히려 독립기업이 유의적으로 더 높은 투자-현금흐름 배수를 기록하였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현금흐름이 음수일 때는 유의성이 낮으나마 그 반대의 현상이 목격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공한 독립기업의 경우 창업초기에 기업집단 소속기업에 비해 자금조달에 더 큰 어려움을 겪는다는 일방적인 주장을 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만약 기업집단 소속기업이 창업초기에 외부자금조달에 큰 문제가 없다면, 위의 결과는 독립기업도 마찬가지로 창업초기에 외부자금조달을 중요한 애로사항으로 느끼지 않고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향후 성공가능성에 상관없이 모든 창업 벤처기업에게 혜택을 주는 보편적인 정책이 아니고 성공할 기업을 가려내서 이들에게만 혜택을 주는 선별적인 정책을 정부가 추구한다면, 창업초기기업에 대한 지원정책 중 자금지원 정책은 그 우선순위가 낮아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successful stand-alone firms have more difficulties than the successful firms affiliated to business groups in external financing. The easiness of external financing is measured by investment-cashflow multiple. Controlling the effects on the multiple of the past business performances and the expectation of future business performances, we investigate how the ownership type affects the multiple.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when cashflows are positive, the stand-alone firms exhibit higher investment-cashflow mupltiples. When cashflows are negative, however, the opposite is true, even thoug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 is rather low. These results do not support the general idea that stand-alone firms must have more disadvantage than subsidiary firms in raising funds from outside. If member firms of business groups have no big trouble financing externally, then the above results imply that stand-alone firms do not either identify external financing as a major difficulty in running business. Thus, if the government seeks to formulate the selective policies supporting only the promising start-ups, instead of the general policies benefiting random start-ups, then the start-up financing policy should have a lower prior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