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Among Self-Determinati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예비창업자의 자기결정성이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5.08.18
  • Accepted : 2015.10.28
  • Published : 2015.10.31

Abstract

Overall, college students tend to be immersed in the relatively safe employment, such as civil servants or public sector than start one's own business due to the lack of entrepreneurial spirit which made the great success in order to take the risk and innovative challenge. In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pre-founder of college students' self-determinatio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intentions are to be determined. As a result, the implications were derived in order to make pre-founder various ways of career decision beside employment. Therefore start-up training courses was verified by moderating effects. The results are first, high self-determination(Autonomy, Efficacy) of the pre-founder made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high self-determination(Autonomy, Efficacy) of the pre-founder made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ship. Third, entrepreneurship of the pre-founder made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urth, entrepreneurship was carried out a ful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inally, Pre-founder group who have tak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v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igh self-determination(Autonomy, Competence, Relation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especially pre-founders, in order to improve the willingness of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ship, highly motivated intrinsic motivation is needed to ensure the student's self-determin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It looks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autonomy, competence, efficacy improvement.

위험을 감수하며 혁신적으로 도전하여 커다란 성과를 이루어내는 기업가정신의 부족으로 대학생들이 창업보다는 공무원 및 공공기관 등 상대적으로 안정된 취업에 몰입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예비창업자들이 자기결정성과 기업가정신의 고취를 통해서 취업과 더불어 창업으로의 진로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창업자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창업교육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예비창업자의 높은 자기결정성(자율성, 유능감)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예비창업자의 높은 자기결정성(자율성, 유능감)은 기업가정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예비창업자의 기업가정신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기업가정신은 자기결정성(자율성, 유능감)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결정성(유능감)과 창업의지의 긍정적인 관계는 창업교육을 수강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더욱 높게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예비창업자인 대학생의 창업의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교육 현장에서 대학생들의 자기결정성을 통한 내재적 동기부여 강화가 필요하다. 이때 창업의지의 고취는 예비창업가의 자기결정성을 향상시키는 노력과 동시에 창업교육을 통한 기업가 정신의 향상을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예비창업자의 개인심리적 특성 함양을 위한 창업교육, 내재적 동기부여 강화를 위한 자기주도적 성인교육기법의 적용, 창업교육전문가의 육성을 통한 창업교육의 전문화, 직업교육 또는 진로교육으로서의 창업의 일상화 및 지원제도가 대학교육에서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