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f the Mobile Giving Platforms Based on Construal Level Theory: Focused on Bigwalk and Tree Planet

해석수준 이론에 기반한 모바일 기부 플랫폼 사례연구: 빅워크와 트리플래닛을 대상으로

  • Received : 2015.09.24
  • Accepted : 2015.12.04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Mobile giving platform is a new type of giving platform which offers donation service through mobile application. Mobile giving platform has developed differently from offline giving platform in the way that induces continuous do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y mobile giving platform has adopted different strategy, and how it leads to continuous contribution. We conducted a case study with two successful mobile giving platforms; Bigwalk and Tree Planet. The analysis of the strategy is based on the construal level theory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distance and construal level. The result shows that the users' psychological distance toward giving platform has decreased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 offline to mobile. Consequently the mobile giving platform offers services which form low level of construal for encouraging continuous participation. This finding suggests the importance of offering suitable construal level in services, and design guideline for mobile giving platforms.

앱을 통해 기부가 이루어지는 모바일 기부 플랫폼이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기부 플랫폼은 사용자들의 지속 참여를 위해 재미나 건강과 같은 요소들을 핵심 가치로 내세우고 있다. 이는 기존의 오프라인 기부 플랫폼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첫째, 모바일 기부 플랫폼이 지속적인 기부 참여를 위해 왜 새로운 전략을 취하고 있는 것인지, 둘째, 새로운 전략이 어떻게 지속적인 기부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대표적인 모바일 기부 플랫폼인 빅워크와 트리플래닛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 참여 유도 기제를 파악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써 심리적 거리감과 해석수준의 관계를 설명하는 해석수준 이론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플랫폼으로의 이동이라는 환경적 변화에 따라 사용자들이 기부 플랫폼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이 감소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속적인 참여 유도를 위해서는 심리적 거리감에 따라 적절한 해석수준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모바일 기부 플랫폼은 낮은 해석수준의 서비스 요소들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모바일 기부 활성화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Cited by

  1. 사용자의 기부 의도 증진을 위한 비주얼 노벨 게임 개발 및 효과 검증 vol.19, pp.5, 2015, https://doi.org/10.7583/jkgs.2019.19.5.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