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Group Reminiscence Program for Elderly with Dementia

  • 홍기훈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주아영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구성민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김윤완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정혜림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Hong, Ki-Ho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aya University) ;
  • Ju, A-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aya University) ;
  • Koo, Sung-M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aya University) ;
  • Kim, Yun-W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aya University) ;
  • Jung, Hye-Rim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aya University)
  • 투고 : 2015.10.31
  • 심사 : 2015.11.25
  • 발행 : 2015.11.30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김해시에 소재한 K복지관의 주간 보호시설을 이용하는 29명의 치매노인을 실험집단(14명)과 통제집단(15명)으로 나누어 매주 2회 40분씩 총 12회로 회상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평가도구로는 한국형 노인 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in Korea; GDS-K)를 사용하여 중재 전 후의 우울 수준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실험집단의 GDS-K 점수는 집단회상프로그램 전 $20.7{\pm}1.4$점, 후 $13.5{\pm}1.7$점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z=-3.30, p<.05), 통제집단의 GDS-K 점수는 집단회상프로그램 전 $20.9{\pm}2.3$점, 후 $21.0{\pm}2.6$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5). 따라서 사전 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 집단회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우울의 감소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회상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손쉬운 접근과 적용이 가능한 집단회상프로그램을 치매노인의 우울 감소 치료의 한 방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Objective : This study shown that effects of the group reminiscence program for dementia elderly. Methods : In this study, dementia was divided into two groups who has used K Welfare Center of day care facilities located in Gimhae, the experimental group(14 patients) and control group(15 patients) was carried out by dividing the experiment twice a week, total of 12 times. Using the evaluation tool of Korea type elderly depression scale(Geriatric Depression Scale in Korea; GDS-K),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dementia was compared before and after. Results : Experimental group of GDS-K was pre-score was $20.8{\pm}1.4$ point, post-score was $13.5{\pm}1.7$ point 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d(z=-3.30, p<.0.5), Pre-score of controlled group is $20.9{\pm}2.3$ point post score was $21.0{\pm}2.6$ poi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depression than control group(p<.05).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shown that reminiscence program help depression of dementia decreased. Therefore, reminiscence program that anyone can easily adapt is proposed as a method of reducing depression in dementia.

키워드

피인용 문헌

  1. Reminiscence Reflecting Cultural Background in Korean Older Adults with Dementia: A Concept Analysis vol.24, pp.2, 2015, https://doi.org/10.14370/jewnr.2018.24.2.110
  2. 회상요법이 치매노인의 우울증상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vol.49, pp.3, 2015, https://doi.org/10.4040/jkan.2019.49.3.225
  3. 노인의 인지적 기능 향상을 위한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vol.43, pp.3, 2015, https://doi.org/10.21796/jse.2019.43.3.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