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Regional Imbalance and Map Usage in Korean Geography Test as a Part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수능 한국지리 문항에서의 지도활용과 출제 지역의 공간 분포 현황 분석

  • Bae, Sunhak (Dept. of Geography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배선학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5.01.06
  • Accepted : 2015.02.04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there is any regional distribution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geographical location's name mentioned on the SAT Korean geography test. The reviewed items were used for geography subject test in Korean SAT exam in between 2005 and 2015. Researchers analyzed how often a location had been mentioned in the form of maps, captions, and graphs in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for 11 years. The result indicated that 42% out of the 220 items were using map and about 33% of them represented a specific region. Especially, items related with climate, industries, and local area section contained a specific area information more frequently than others. Moreover, there were 76 cities mentioned in geography subject test on Korean SAT exam during 11 years and 25 places among them were referred to more than three time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city was Seoul followed by Incheon, Daegu, Busan, Gangneung, and Jeju and this result shows that there were some regional bias in geography test on the SAT Korean exam.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지리 평가 문항들에서 지역적인 편중이 발생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5~2015학년도의 수능 한국지리 평가 문항에서 지도와 설명 및 그래프를 통하여 특정 지역이 한국지리 세부 영역별로 어느 정도의 빈도로 출제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능 한국지리 220문항 중 약 42%에서 지도가 활용되고 있었고, 약 33%에서 구체적인 지역 정보가 제시되고 있었다. 한국지리의 세부 영역별로 볼 때 기후, 산업, 지역(지방) 영역에서 구체적인 지역 정보 제시가 많았다. 지난 11년 동안 수능 한국지리 출제 문항에 언급된 시 군은 모두 76곳이며, 이들 중 3번 이상 언급된 곳은 25곳이다. 가장 높은 출제 빈도를 보인 지역은 서울이며, 인천과 대구, 부산, 강릉, 제주 등이 출제 빈도가 높은 지역이었다. 수능 한국지리 평가 문항 분석 결과 세부 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지역적인 편중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