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motion and Content Composition of Geotravel as a New Way of Tourism

새로운 관광수단으로서 지리여행의 콘텐츠 구성과 활용 방안

  • Park, Jongkwan (Dept. of Geography, College of Science and Dept. of World Heritage, Graduate School, Konkuk Univ.)
  • 박종관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대학원 세계유산학과)
  • Received : 2015.01.26
  • Accepted : 2015.02.07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Geographical travel(Geotravel) is new theme tourism based on geographical fieldwork. Geotravel is an emotional journey to explore physical and human landscapes, and is also a comprehensive environmental one beyond the scope of historical tourism. Geotravel provides an optimized regional content and programs for experiential tourism of the family. Taking advantage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s spatial tourism, the geotravel methodology in catchment unit is strongly recommended. The geotravel content has to be developed in convergence standpoint. The integrated key words of geotravel are human and water. Geotravel is a pattern of specialized edutainment tourism for the public and elementary, secondary school students as well. The development of geographical travel courses is necessary for the popularization of geotravel. Mobile apps will be the medium that delivers easy geographical travel information. And geotravel curator has to be raised quickly for the generalized easy and interesting geotravel.

지리여행은 지리학의 현장답사에 근거한 새로운 테마여행이다. 지리여행은 자연경관과 인문경관을 탐구하는 감성여행이며, 역사관광을 뛰어넘는 포괄적 환경여행이다. 지리여행은 가족 체험여행을 할 수 있는 최적화된 지역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공간여행으로서의 지리여행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유역 단위의 지리여행법이 효율적이다. 지리여행 콘텐츠는 융복합 관점에서 개발되어야 한다. 인간과 물은 지리여행 콘텐츠의 통합 주제어이다. 지리여행은 초 중등학교 학생을 위해 특화된 체험여행이기도 하다. 지리여행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지리여행의 코스 개발이 필요하다. 모바일 앱은 지리여행 정보를 쉽게 전달해 주는 매개체가 될 것이다. 지리여행 큐레이터의 육성도 시급하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고품격 지리여행 상품도 개발되어야 한다. 지리여행은 창조관광 달성을 위해 매우 효율적인 수단이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