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velopment and Site selection of an AIRFIELD

경비행장 개발 및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 박상용 (한서대학교 대학원 항공운항관리학과)
  • Received : 2015.12.06
  • Accepted : 2015.12.26
  • Published : 2015.12.30

Abstract

As of end of 2014, the population engaging in aviation activities for leisure has reached approximately 13 million, where approximately 356 cases involve a general aircraft, 200 cases involve light aircraft, and 636 cases involve an ULM. The industry for leisure has become a very promising industry in line with rapidly rising living standards which are expected to further increase in the future. The demand for such services is expected to increase over tim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development and site selection of airfields in anticipation of these developments in the industry. While the government also has experience in the review of airfield location and candidate sites, it is not the government that carries out the actual construction. As such, the feasibility of the site needs to be verified in terms of actual construction.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for Site Selection of factors through a review of related documents and existing research reports. A questionnaire was also used to collect the views of experts in the field, which was then analyzed. The Research model was confirmed in the layered form for an AHP analysis. The factors for Site Selection were identified as the technical / operational factors and economic / political elements for a two-stage configuration. The third step consisted of technical and operational elements. The final step is was constructed a total of 11 elements (weather, surface conditions, obstacle limitation surface, airspace conditions, operating procedures, noise problems, environmental issues, availability of facilities, construction and investment costs, contribution to the local economy, accessibility, demand / the proximity of demand). The surveys are conducted for more than 10 General and light aircraft pilots, professionals, and instructor. The analysis results showed a higher level in the technical / operating elements (73.2%) in the first step, while the next step sawa higher level of the operational elements (30.9%) than the other. The factors for Site Selection were any particular elements did not appear high, the weather conditions (17.5%), noise problems (19.8%), the proximity of demand (6%), accessibility (5.7%), environmental issues (11.1%), availability of facilities (8%), airspace conditions (7.9%), obstacle limitation surface (12%), construction and investment costs (4.2%) and to operating procedures (4.9%), contribution to the local economy (3.8%).

2014년말 기준 항공레포츠 동호인은 약 13만명, 경항공기 356대, 경량항공기 200대, 초경량비행장치 636대에 이르고 있으며, 항공레포츠 산업은 향후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급격히 발전할 유망 레저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또한 초경량비행장치, 특히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한 사용사업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향후 이들 장치를 활용한 관광, 레저 사업자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논문은 경항공기, 경량항공기 및 초경량비행장치 관련 지속적인 수요 증가에 대비하여 경항공기, 경량항공기 및 초경량비행장치 산업 활성화를 위한 "경(소형)비행장 개발의 표준화"를 통한 개발 방안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정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항공레저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국에 경비행장을 많이 건설하여 운영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해야 하지만, 각 지자체와 기관들은 앞 다투어 경항공기 비행장 건설에 나서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개발이 된 곳은 많지 않다. 정부차원에서도 경비행장 입지를 위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으나, 후보지만 검토하였고, 실제 건설에 대한 타당성을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 만일 실제로 건설이 된다면, 이러한 비행장의 입지가 과연 적합한지에 대해서는 타당성 검토를 통해 다시 한 번 검증 받게 될 것이다. 그리고 기존 연구보고서들과 관련 문서를 통해 입지선정 요소를 도출해내고, 전문가의 설문을 통해 경비행장의 입지선정 요소들을 분석해 내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은 AHP분석을 위해 계층화 형태로 정하였는데, 선행연구 검토를 토대로 가중치를 정하여, 경비행장 입지선정요소에 대하여 2단계 구성을 기술/운영적 요소, 경제/정책적요소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3단계로 기술적 요소, 운영적 요소로 구성하였다. 마지막 단계로는 총 11개 (기상조건, 장애물 제한표면 조건, 공역조건, 운항절차, 소음문제, 환경문제, 시설의 이용성, 건설 및 투자비용, 지역경제 기여도, 접근성, 산업연계성)의 하위요소들을 선정하여 구성하였다. 경항공기 비행장 입지선정 요소 가중치 설문은 본 분야의 전문가 집단인 항공 운항, 관제 등의 교수 및 기장, 교관, 관제사, 정비사 등 전문가 7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일관성 지수는 CI=0.02로 일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2013년831호
  2. 국토교통부, "항공산업.레저동향", 2015년01호
  3. 국토해양부, "공항종합계획매뉴얼", 국토해양부 예규 제56호, 2009년
  4. 김종석, "지방공항의 소유와 운영 : 경제학적 근거와 판단", 2002.11월
  5. 김용석, "경량항공기 개발동향 및 인증제도 고찰", 2010년09월
  6. 김웅이.신대원, "우리나라 항공기 및 경량항공기의 종류 및 범위에 대한 법적 고찰", 2013
  7. 김웅이, 국내 지역 공항개발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서산 지역 공항개발 분석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항공운항학회, 2008년09월
  8. 김혁출.이용식, "항공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2004년
  9. 김태한, "공항개발계획과 사업에서의 항공안전성 제고에 대한 법률적 소고" 2012년12월
  10. 박경수, "레저관광스포츠항공산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두원공과대학, 2009년11월
  11. 박병철, "항공스포츠를 통한 지방공항 활성화 전략체계에 관한 연구-조종사의 기지선택요인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항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년
  12. 박용화,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경비행장 개발방안 조사연구", 건설교통부, 2002년12월
  13. 박은수, "항공문화, 항공스포츠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항공문화 통권 제3호, 대한민국항공회, 2010년
  14. 성연영, "항공시장동향",국토교통부 2015년01월, 2014년12월
  15. 송경일, "AHP기법을 이용한 공항 입지조건 연구", 울산대학교, 2004년06월
  16. 신대원, "레저항공산업발전을 위한 제도마련 및 정책방향", 체육백서2008, 교통안전공단, 2009년
  17. 윤성현 "한국발 항공사 화물 서비스의 경쟁력에 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2014년08월
  18. 이강석, "항공레저스포츠산업의 활성화 방안", 항공산업연구, 2009년
  19. 최휴종, "우리나라 항공레저스포츠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2009년
  20. 항공우주연구원, "레저스포츠 항공기 제도 도입 연구", 2005년
  21. 한국교통연구원, "경량항공기 및 초경량비행장치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및 발전방안 연구",국토해양부, 2011년05월
  22. 한국교통연구원. "경항공기 활주로 조성 사전 타당성 조사",2010년
  23. 한국교통연구원. "제4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 2010년
  24. 한국교통연구원. "제4차 공항 개발 중장기 종합 계획 수립, 3권 경비행장 개발 계획", 2010년08월
  25. 한재현 외2명, "초경량비행장치 안전관리 방안 수립연구",한국교통연구원, 2008년11월
  26. 황선우, "GIS기반 군 공항 이전 최적입지 선정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년08월
  27. AC 103-6(1983), Ultralight Vehicle Operation ; Airports, Air Traffic Control, and Weather. FAA, 1983.
  28. AC 103-7, The Ultralight Vehicle. FAA, 1987
  29. Airport Master Plans, AC 150-5070-6B, 2007.
  30. Airport Planning Manual, DOC 9184, 2002.
  31. AIP Sponsor Guide-500, 2012.
  32. AIP Sponsor Guide-500, 2012.
  33. Boeing, Current Market Outlook, 2014-2033.
  34. Airbus, Global Market Forecast, 2014-2033.
  35. Boeing world air cargo forcast, 2013-2013.
  36. Burley Municipal Airport Site Selection Study, 2013.
  37. Feasibility/Site Selection Study -Including Aviation Forecasts and Alternatives Analysis, 2014.
  38. IATA Pressrom, 2013.
  39. ICAO Airport Service Manual, Part 6 -Control of Obstacles
  40. ICAO ANNEX 14. AERODROMES chapter4 "Obstacle Restriction and Removal"
  41. ICAO Annex 16, Volume I - Aircraft Noise
  42. Runway design and structural design of an airfield pavement, 2014.
  43. Team SAI Consulting services, Global MRO Market Economic Assessment Air Transport,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