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성인애착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erceived through SNS on Teachers' Adult Attachment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 투고 : 2014.10.31
  • 심사 : 2014.11.27
  • 발행 : 2015.02.28

초록

본 연구는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교사들의 성인애착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03부의 응답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성인애착에서는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도구적지지가 애착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착회피에서는 정서적 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지지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논의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erceived through SNS on teachers' adult attachment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In order to do so,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and a total of 103 sets of respons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on social support perceived through SNS, with regards to adult attachment, it was shown that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instrumental support have influence on attachment anxiety. With regards to attachment avoidance, emotional support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effective influence. In addition, with regards to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erceived through SNS on occupational satisfaction, it was shown that emotional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have effective influence on occupational satisfaction. In conclusion and discus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임병노, 이준, "고등교육에서의 e-러닝 큰텐츠 실태와 시사점",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권, 제2호, pp.277-307, 2007.
  2. 박순주, 권민아, 백민주, 한나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289-29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289
  3. C. W. Hsu, C. C. Wang, and Y. T. Tai, "The closer the relationship, the more the interaction on Facebook? Investigating the case of Taiwan users," CyberPsychology, Behavior & Social Networking, Vol.14, No.7/8, pp.473-476, 2011. https://doi.org/10.1089/cyber.2010.0267
  4. P. Vedder, M. Boekaerts, and G. Seeg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well being in school: The role of students' ethnicit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34, No.3, pp.269-278, 2005. https://doi.org/10.1007/s10964-005-4313-4
  5. J. S. House,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setts, Addison-Wesley Publishing Co, Vol.31, 1981.
  6.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pp.310-357, 1985.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7. C. Baruch-Feldman, E. Brondolo, D. Ben-Dayan, and J. Schwartz, "Sources of Sacial Support and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7, No.1, pp.84-93, 2002. https://doi.org/10.1037/1076-8998.7.1.84
  8. 이준일, 이지연, "조직내 커뮤니케이션과 구성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491-507, 2006.
  9. 박은주, 유아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9.
  10. N. L. Collins and S. J. Read, "Adults attachment, Wotking models and relationshil quality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1, pp.810-832, 1990.
  11. C. Hazan and P. Shaver,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No.3, pp.511-524, 1987. https://doi.org/10.1037/0022-3514.52.3.511
  12. K. A. Brennan and J. K. Bosson, "Attachment-style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and reactions to feedback from romantic partners: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al bases of self-esteem,"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4, pp.699-714, 1998. https://doi.org/10.1177/0146167298247003
  13. 양혜선, 애착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4.
  14. G. N. Priel and D. Shamai, "Attachment styl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Effects on affect regul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9, pp.235-241, 1995. https://doi.org/10.1016/0191-8869(95)91936-T
  15. 임수진, 성인애착과 사회적지지, 자아 존중감의 관계, 전남대학교, 학생생활관연구, 2003
  16. L. Kahn and C. Antonucci, Convoys over the Life Course; Attachment, roles, and social support, Paul, B. Baltes and Orville, G. Brim, Jr(eds.),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New York: Academic Press, 1980.
  17. 유영란, 성인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심리적 불편감, 지각된 사회적지지, 자기은폐의 매개역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5.
  18. J. Morahan-Martin and P. Schumacher, "Incidence and Correlates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among College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16, pp.505-515, 2009.
  19. 김은미, 나은영, 박소라, "면대면 상호작용과 미디어 이용이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감 획득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친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2호, pp.110-152, 2010.
  20. 조윤경, 백영민, 김반야, "SNS 관계망에서의 상호작용은 어떻게 사회적 지지감을 형성시키는가?-관계망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연구, 제22권, 제2호, pp.5-31, 2014.
  21.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1," Journal of App;ied Social Psychology, Vol.12, No.2, pp.99-125, 1983.
  22.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85.
  23. 김용찬, 심홍진, 김유정, 신인영, 손해영, "소셜네트웍서비스에서의 공유행위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제56권, 제3호, pp.28-50, 2012.
  24. K. Batholomew and L. M. Horowitz,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of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pp.224-226, 1991
  25. 노종희, 교육행정학: 이론과 연구, 서울:문음사, 2001.
  26. 전성연, 교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분석적 연구, 서울: 대한교육연합회, 1982.
  27. 김범준,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28. 김경미, 대학생의 성인애착, 사회적지지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0.
  29. 이지영, 부모 및 또래 애착,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0. 임윤선, 성인애착이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존재감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숙명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2.
  31.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Vol.2, Separation, New York; Basic Books, 1973.
  32. D. C. Ganster, M. Flusilier, and B. T. Mayes, "Role of social supports in the experience of stress of stress at work,"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71, pp.102-110, 1986. https://doi.org/10.1037/0021-9010.71.1.102
  33. 권영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사회적지지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4.
  34. 이성대, 염동문, "청소년의 게임중독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229-23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8.229
  35. D. L. Vogel and M. Wei, "Adult Attachment and help-Seeking intent: The mediating roles of psychological di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2, pp.347-357.
  36. 이무근, 직업교육학 원론, 서울 : 교육과학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