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 Analysis on Mental Health and Spiritual Wellbeing of the Pastors' Wives

목회자 사모의 정신건강과 영적 안녕감의 관계 분석

  • Received : 2014.11.27
  • Accepted : 2015.01.19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tal health and spiritual wellbeing of the wives of pastors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both negative and positive elements of mental health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piritual wellness. The findings of conducted survey and the analysis of its result on the 236 subjects to measur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spiritual wellbeing are as follows: First, the verified result of the differences between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ness, and spiritual wellness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variables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ministry uniquely showed a 5% level of significance. Second, depress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piritual wellbeing,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proves that rather than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possesses a greater influence on spiritual wellness. Third, a one-level increase of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n influence on spiritual wellbeing by - 0.282 and 0.668 respectively. Lastly, the study categorized the subjects into two groups -- those who are satisfied with their ministry and those who are not --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sub-factors of spiritual wellness. As a result, both groups showed that depress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ly on the existential wellbeing, while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n influence on both religious and existential wellbeing, and rather than depression, a negative state of mental health, a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is a positive state of mental health had a greater influence.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group that is dissatisfied with their ministry than the group that is satisfied.

본 논문은 목회자 사모들의 정신건강과 영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부정적 정신건강 요소인 우울과 긍정적 정신건강 요소인 심리적 안녕감이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목회자 사모 236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 우울, 영적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우울, 심리적 안녕감, 영적 안녕감 차이를 검증한 결과 목회만족도만이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모습을 보였다. 둘째, 우울은 영적 안녕감과 부적 관계를, 심리적 안녕감과는 정적 관계가 있었고, 우울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영적 안녕감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이 한 단위 증가할 때, 영적 안녕감에 대해 각각 -0.282, 0.668만큼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회 만족도에 따라 만족/만족하지 못하는 그룹을 나누고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들이 영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그룹 모두에서 우울은 실존적 안녕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심리적 안녕감은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 모두에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정신건강인 우울보다는 긍정적 정신건강인 심리적 안녕감이 목회자 사모의 영적 안녕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이 목회에 만족하는 그룹보다 만족하지 않는 그룹의 영적안녕감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J. E. Myers, T. Sweeny, and J. M. Witmer, "A Wholistic model for treatment plann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78, pp.251-266, 2000. https://doi.org/10.1002/j.1556-6676.2000.tb01906.x
  2. P. Voughan, The inward are: Healing and wholeness in psychotherapy and spirituality, Boston: New Science Library, 1986.
  3. 김광미, 기독교인의 영성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감사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4. A. P. L. Chng, The impact of burnout and spiritual well-being on the job satisfaction of pastor within the methodist church in Singapore, Asbury Theological Seminary, Unpublished Manuscript, 2012.
  5. 이만식, 한국인들의 정신건강, 소진, 영적안녕에 대한 의식조사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제3회 바른신학 균형 목회 세미나 보고서, 2009.
  6. 김상태, 재림교회 목회자의 바람직한 부인상과 목회현장에서의 사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93.
  7. 오원택, 인지요법을 활용한 목회자 사모의 우울증 치료 프로그램, 장로회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8. 장은진, "목회자 사모의 정신건강과 상담에 대한 요구도 조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16호 pp.187-210, 2008.
  9. 김영경, "목회자 아내들의 심리적 안녕과 행복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기독교상담학회지, 제12권, pp.92-116, 2006.
  10. 설경옥, 박지은, 박선영, "종교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메타분석: 국내 학회지 게재논문(1995-2011)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1권, 제3호, pp.617-642, 2012.
  11. 오복자, 강경아, "영성: 개념분석", 한국간호학회지, 제30권, 제5호, pp1145-1155, 2000.
  12. P. E. Paloutzian and C. W. Ellison,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82.
  13. 서경현, 정성진, 구지현, "대학생의 영적 안녕과 생활 스트레스, 우울 및 자아존중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5호, pp.1077-1095, 2005.
  14. 손은정, 홍혜영, 이은경, "종교성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낙관성의 매개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1권, 제2호, pp.465-480, 2009.
  15. A. E. Bergin, "Religiosity and mental health: A critical reevaluation and meta analysi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14, pp.170-184, 1983. https://doi.org/10.1037/0735-7028.14.2.170
  16. B. Hunsberger, S. Alisat, S. M. Pancer, and M. Pratt, "Religious fundamentalism and religious doubts: Content, consciousness and complexity of thin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Psychology of Religion, Vol.6, pp.39-49, 1996. https://doi.org/10.1207/s15327582ijpr0601_5
  17. 최미선, 인지요법을 활용한 목회자 사모의 우울증 치료 프로그램,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8. S. R. Polly, G. G. Hildy, and E. S. Gary, "Alleviating stress in clergy wives," The Journal of Spirituality in Mental Health, Vol.9, No.1, pp.35-58, 2006. https://doi.org/10.1300/J515v09n01_03
  19. 안석모, "사모의 정체성 문제에 대한 허와 실", 목회와 신학, 제3권, pp.134-135, 2005.
  20.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심리적 안녕감이 구성 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5권, 제2호, pp.19-39, 2001.
  21. 양명주, 무영전공 여대생들의 무용 경력과 체지 방률이 섭식장애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2. 박지아, 적응유연성과 영적 안녕 및 부모 애착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3. 김승국, 한국 재림교회 목회자 사모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4. 김남희,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5. A. T. Beck, R. S. Steer, and G. K. Brown, Manual for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1996.
  26. 신수옥,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7. 황인호, 장성화,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공감능력, 직무효율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2, pp.232-24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232
  28. 권석만,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학지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