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교시설의 녹색건축인증 사례를 통한 평가부문별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bout Assessment Criterion of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e of School Facilities through the Case

  • 김재영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 이종국 (계명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투고 : 2015.10.08
  • 심사 : 2015.12.18
  • 발행 : 2015.12.31

초록

본 연구는 친환경 인증을 받은 학교시설을 대상으로 예비인증 거쳐 본인증을 획득한 시설에서 친환경건축물인증 제도의 부문별 적용 및 득점 비율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향후 친환경 인증학교시설 계획에 있어 설계자 및 관련 담당자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2010 개정친환경건축물 인증 기준 이후 인증을 받은 신축 학교시설을 대상으로 하며 예비심사를 거쳐 본 인증을 획득한 10개교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내용은 녹색건축 인증기준 2013 학교시설 인증심사기준(별표4)의 7개 평가 부문에 대해서 적용시설 및 득점비율을 조사 분석하였다.

This study has certified green school facility into a target of 10 cases, and obtain a certificate of our own sector application, and scoring rate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Analyze problems is derived. The study i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by School Facilities through the plan is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for designers and associated personnel. This study of Eco-friendly School Buildings and subsequent certification review and evaluation based on the study improved through active to expec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성배, 교육시설의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적용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양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2. 김소정, 친환경건축물인증 학교시설의 유지관리에 관한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남영호, 학교시설에서 친환경건축물인증 평가항목의 실태조사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4. 문선기, 학교시설의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평가지표 분석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5. 은소진, 학교건축의 친환경 인증사례를 통한 실내환경 계획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6. 이광영, 친환경학교건축 설계 적용 방향,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4(1), 2007.
  7. 홍석환, 학교시설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2.
  8. 허진영, 교육시설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평가 적정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 K고등학교의 거주 후 평가를 통하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9. 녹색건축인증제 (G-SEED), http://www.g-seed.or.kr/
  10.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http://www.kisee.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