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of 4 regions, fresh water sites, estuary, Mankyeong and Dongjin lake and offshore regions, 4 times a year from 2011 to 2013. The number of species were 48-59 in 2011 (March, June, September, and November). From Mankyeong and Dongjin lake, fresh water species were dominated in June and coexisted with seawater species in September 2011. 45-65 species were observed in 2012 (April, June, September, and November) and diverse cyanophytes were present at the fresh water sites in September. The number of species reached up to 56-69 in 2013 (March, June, September, and November). In particular, owing to the diverse dinoflagellates from seawater and various cyanophytes and chlorophytes from fresh water, the maximum species number was recorded in June, 2013.
새만금수역 내부의 방수제 착공시점(2011년)으로부터 2013년까지 새만금 수역을 담수역, 하구역, 만경호와 동진호 수역, 방조제 밖 외해역 등 4개의 수역으로 나누어 연 4회씩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조사하였다. 2011년 조사(3월, 6월, 9월, 11월)에서는 각 시기별로 48-59종씩의 식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으며 만경호 및 동진호 수역에서 6월의 결과는 담수종이 우세하였으나 9월에는 담수종과 해수종의 공존이 관찰되었다. 2012년 조사(4월, 6월, 9월, 11월)에서는 각 시기별로 45-65종이 출현하였고 9월에 가장 다양하였는데 그 원인은 담수정점들을 중심으로 남조류의 출현종수가 증가한 것에 기인한 결과였다. 2013년 조사(3월, 6월, 9월, 11월)는 56-69종이 출현하여 연구수역은 최근으로 오면서 오히려 출현종수는 증가하고 있었다. 특히 6월의 결과에서 최대 출현종수를 보였는데 해수영향을 받는 곳에서는 와편모조류 출현종의 증가, 그리고 담수역에서는 남조류와 녹조류 출현종의 증가에 의한 결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