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ional Network Attributes of Provincial Boundary Regions : Focused on Okcheon-gun in Chungbuk Province

도계지역의 지역적 네트워크 특성 - 충북 옥천을 대상으로 -

  • Lee, Jung-Min (Department of Environmental.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Hong, Sung-Ho (Department of Regional Development, Chungbuk Research Institute)
  • 이정민 (충북대학교 환경.도시공학과) ;
  • 홍성호 (충북발전연구원 지역발전연구부)
  • Received : 2015.10.20
  • Accepted : 2015.11.18
  • Published : 2015.11.30

Abstract

Provincial boundary regions need differentiated strategies from non-provincial boundary regions because they form multilayered regional networks with boundary cites and province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attributions of provincial boundary regions' regional networks in the dimensions of commuters, companies, and government and to explore their political strategies. At commuters level, Okcheon, a case study area, forms the strongest regional networks with Daejeon and does not have any regional network with Honam region. At companies level, it forms the regional network with Daejeon, Gyeonggi, and Chungbuk, and with Daejeon(Donggu, Daedukgu), and Gyeonggi(Bucheon) at government level.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conclusive policies. First, provincial boundary regions should be postulated as the new policy targets. Second,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should be constructed pan-regionally as the base data of regional network studies. Lastly, cooperation system among local government of the provincial boundary regions should be constructed.

도계지역은 경계하고 있는 시 도와 다층적인 지역적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특성 때문에 비도계지역과는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계지역으로서 옥천이 갖는 지역적 네트워크 특성을 통근 통학자, 기업, 정부차원에서 분석하고 도계지역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옥천은 통근 통학자 네트워크 측면에서 대전과 지역적 네트워크가 가장 강하고, 호남과는 네트워크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업측면에서는 대전, 경기, 충북과, 정부차원에서는 대전(동구, 대덕구)와 경기(부천)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계지역을 새로운 정책대상으로 상정하고, 지역 네트워크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인구주택총조사의 초광역적 통계데이터를 구축과 경계지역 기초자치단체 간 협력체계를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Keywords